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주역(周易)󰡕에 대한 관점을 유가경전으로서의 인식과 자기 수양서로의 인식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규보는 고려시대 무신정권기의 문인으로 만년에는 불교의 󰡔능엄경(楞嚴經)󰡕과 함께 󰡔주역󰡕을 즐겨 읽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무신정권기는 고려 유학의 쇠퇴기, 암흑기로 이해되어 왔다. 이규보에게 유학이 관직생활, 정치생활을 위한 방편으로 이해되기도 했고, 또 이 시기 유학이 관학으로서의 정치⋅행정적 측면이 컸다고 이해되기도 했지만 유가경전으로서 이규보의 󰡔주역󰡕에 대한 관심은 󰡔주역󰡕에 담긴 철학적 이치에 대한 관심, 자기 수양의 근거로서의 관심과 이어져 있다. 물론 이 시기 유학은 조선의 유학처럼 엄밀한 유⋅불⋅도의 경계 위에 있지 않았지만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는 󰡔주역󰡕이 기본적으로 유가경전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고, 󰡔능엄경󰡕과 함께 자기 수양의 텍스트로 이해되고 있다. 이규보가 살던 시기에 한대(漢代) 역학 이론이 통용되었던 것으로 보이고 이규보의 󰡔주역󰡕 및 역학 관련 언급에서도 한역(漢易)을 자연스럽게 인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하지만 대체로는 󰡔주역󰡕 경문에 대한 인용이 자주 나타난다. 이규보는 점(占)을 넘어서 이치를 담은 문헌으로 󰡔주역󰡕을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이규보의 삶에서 자기 수양 텍스트로서 󰡔주역󰡕이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삶의 철학으로 기능했던 이규보의 󰡔주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기 수양의 면모를 지니고 있었던 고려 문인들의 󰡔주역󰡕 읽기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Lee Gyubo (李奎報, 1168-1241)’s perspectives on the Zhouyi (周易) as one of Confucian classics and a book for self-cultivation. Lee Gyubo, a scholar during the Goryeo military regime, is known to have enjoyed reading the Zhouyi along with Buddhism’s Avatamsaka Sutra (楞嚴經) in his later years. Historically, the era of Goryeo military regime has been construed as a period of waning and obscurity for Confucianism in Goryeo.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results, Confucianism was sometimes perceived as a means for Lee Gyubo’s official and political career, and at the same time, it was understood that during this time, Confucianism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is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However, Lee Gyubo’s interest in the Zhouyi as a Confucian Classic is connected with his interest in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contained in the Zhouyi, as well as an interest in self-cultivation. While Confucian studies during this period were not strictly confined to the boundari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like in Joseon, in Gyubo’s Dongguk Yisanggukjip (東國李相國集), the Zhouyi is fundamentally recognized as one of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and it is understood as a text for self-cultivation along with the Avatamsaka Sutra. It seems that the yixue (易學) theory of the Han Dynasty was prevalent during this period, and Lee Kyu-bo’s references to the Zhouyi and yixue often drew upon Han translations. Nevertheless, it is evident that citations of the Zhouyi text are frequent. Lee Gyu-bo perceives the Zhouyi as a body of literature encompassing rationality beyond mere divination, and this perspective appears to serve as a framework for self-discipline within his life. This paper seeks to offer an opportunity for contemplating the dimension of self-discipline within Confucianism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lens of Lee Kyu-bo’ interpretation of the Zhouyi, which functioned as a philosophy guiding life’s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