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 아동과 청소년들을 중재한 언어재활사들을 대상으로 몸동작과 몸짓상징체계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의미적, 품사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0명의 언어재활사(남=12명, 여=38명, 평균 연령=33.5세)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Ⅰ. 연구 대상자 기본정보, Ⅱ. 몸동작 및 몸짓상징에 대한 인식 조사, Ⅲ. 몸동작 및 몸짓상징 활용 실태 조사의 영역에 대해 총 20개 문항에 대해 응답하였다. 활용 실태를 살펴보는 문항 중에는 선행 연구에서 분류한 13개의 의미범주에 따라 총 263개의 몸동작 및 몸짓상징 어휘에 대해 사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결과: 언어재활사들은 몸동작과 몸짓상징이 구어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대상자에게 활용가치가 비교적 높고, 이를 중재에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의사소통 기능의 확장에 도움을 준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언어재활사들은 몸동작과 몸짓상징을 활용한 중재를 주로 자폐범주성장애와 지적장애 아동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병변장애 아동에게는 제한된 상지 움직임으로 인해 덜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 이상의 언어재활사들이 중재에 활용한 몸동작 어휘를 조사한 결과, 전체 어휘의 19.2%에 해당하는 52개를 주로 선택하여 교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음식 및 식사와 관련한 의미범주의 어휘를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사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감탄사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대명사, 형용사, 명사, 동사, 부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언어치료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몸동작과 몸짓상징 어휘의 의미적, 품사적 특성을 발달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향상에 중점을 둔 중재 목표와 연결하여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utilization of gestures and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s when working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experiencing developmental language challenges. Additionally, it analyzed the semantic and part-of- speech features of vocabulary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Fift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12 males, 38 females, mean age=33.5). The survey included 20 questions covering questions for research participants, questions on the perception of gestures and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s, and questions on the use of gestures and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s. A total of 263 gesture words were analyzed based on 13 semantic categories and 6 parts of speech. Result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ived gestures and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s as valuable in interventions,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struggling with spoken language production. They acknowledged the role of gestures in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especially in expanding communication functions. SLPs primarily employed gesture intervention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them less frequently with children with brain lesions. Regarding gestural vocabulary, 52 words (19.2% of the total vocabulary) were commonly taught in clinical setting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emantic category of food and eating. In clinical practice, the parts of speech most frequently used in vocabulary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exclamations, pronouns, adjectives, nouns, verbs, and adverbs. Conclusions: The study discussed how the semantic and part-of-speech characteristics of gestures and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s align with intervention goals aimed at improving communication function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