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의 서양철학 수용 1세대 채필근과 한치진의 철학하기를 해외 유학과 기독교인이라는 공통점과 이들의 서로 다른 철학적 지향이 귀국 후 학문 활동 및 사회활동에서도 같은 듯 다른 삶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들의 철학하기의 지향이 경성제대 출신 철학자들의 지향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채필근과 한치진은 서북지방 출신이고,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했으며, 기독교계통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각각 일본과 미국에서 철학공부를 하고 귀국 후에는 평양숭실전문과 평양장로회신학교, 감리회협성신학교와 이화여자전문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이들이 접한 철학하기의 환경은 너무나 달랐다. 채필근은 일본이 번역 번안한 서양철학을 만났고, 한치진은 미국에서 직접 영어를 통해 서양철학을 접하였다. 이 경험은 귀국 후 서로 다른 철학하기 또는 번역과 번안 철학에 충실하게 하였다. 채필근에게는 일본어를 잘한다는 것이 긍정적인 역할도 하였지만, 1930년대 후반에서 1945년까지 행적에서 친일적 혐의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였다. 한치진의 경우는 일본어를 잘하지 못해 학문과 교수활동하는 데 지장이 있었으나 해방 후 영어를 잘한다는 것이 그의 활발한 사회활동으로 이어졌다. 이 두 사람은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철학하기를 한 한국의 제1세대 기독교철학자라 할 수 있다. 경성제대 출신의 철학자들과 달리, 이들의 철학하기는 경성제대 출신의 지향점은 달라도 사회와 공감하는 철학하기를 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ravel the commonalities between Chae Pil-geun and Han Chi-jin,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s to accept Western philosophy. That is, both studied abroad and were Christians, and their philosophical orientations manifested themselves in similar ways in academic and social circles after their return to Korea. The research also sough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orientation toward philosophy between these two figures and philosophers from Gyeongseong University. Chae Pil-geun and Han Chi-jin hailed from the northwest region of Korea, grew up in a Christian family, and were educated at a Christian school. They studied philosophy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and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attended Pyongyang Soongsil College, Pyo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Methodist Hyeopseong Theological Seminary, and Ewha Womans University. They taught philosophy professionally, but the environments that they encountered were very different. Chae Pil-geun encountered Western philosophy in its translated and adapted forms from Japan, whereas Han Chi-jin approached Western philosophy directly through the English language in the United States. These experiences helped me focus on the different philosophies, translations, and adaptations that these scholars faced upon returning to their homeland. For Chae Pil-geun, his adeptness at Japanese played a positive role, and from the late 1930s to 1945, it prevented him from being accused of being pro-Japanese. Conversely, Han Chi-jin was not well-versed in Japanese, which impeded his academic and teaching activities.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his proficiency in English paved the way for active involvement in social initiatives. These two can be said to b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who practiced philosophy without losing their Christian identities. Their philosophy shows that although their orientations differ from those of Gyeongseong University graduates, they empathize with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