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카뮈는 현대극 『오해』(1943)를 통해 고전극보다 현실적이면서도 직접적인 방식으로 부조리 사상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 작품에서 그는 행복한 삶을 위해 살인마조차도 정당하다고 믿는 두 모녀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 사람들도 같은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극중극’의 구조와 살인이라는 폭력성, 가족 살해 등 비극적인 내용을 통해 부조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각자의 현실과 환상 사이에서 소통하는 방식을 구체화한다. 연극『오해』의 구조에서 보여지는 ‘극중극’은 연극이론가인 포레스티에(Forestier)가 지적하는 고전주의 연극 속의 보는 자와 보여지는 자의 전통적 구조와 슈멜링(Schemeling)이 정의한 확대된 개념의 ‘극중극’인 미자나빔(Mise en abyme)과 연극 『오해』 속에서 두 모녀가 살인을 실천하는 장면, 아들이 두 모녀를 속이는 장면을 보여주는 역할 분배하기 형식의 ‘극중극’이며 또한 코우잔(Kowzan)이 정의했던 『오해』 속 배우들의 연기를 토대로 전체에 대한 반영의 형태를 보여주는 메타연극 형식의 ‘극중극’이기도 하다. 또한 작품 제목이기도 한 오해는 크게 두 부분의 오해를 구성하고 있다. 두 모녀는 외딴 시골 여관이라는 현실에서 벗어나 바다가 보이는 환상적인 집에서 사는 삶을 행복이라 생각하였다면, 아들 얀은 어린 시절 집을 나와 돈을 벌어 성공해서 예쁜 아내와 함께 즐기는 바다가 보이는 집인 어린 시절 추억으로 남아있는 시골 마을의 한적한 여관을 환상적인 행복의 장소로 생각한다. 이 같은 구성적 역설을 보여줌으로써 『오해』는 자신의 환경에 불만족하고 소유하지 못한 것을 소유하고 싶어 하는 심리적 불안에서 발생하는 큰 틀의 구성과, 두 모녀가 행복을 위해서는 살인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오해와 성공해서 돌아온 얀이 말을 하지 않아도 모녀가 자신을 알아볼 것이라고 착각하는 오해의 작은 틀의 구성으로 구분된다. 현실 공간인 여관에서 두 모녀에게 행복의 공간인 환상 공간으로 옮겨가기 위한 살인의 정당화는 결국 현실 공간에서 죽음이라는 결과물로 마무리된다. 영원할 수 없는 행복과 극복할 수 없는 죽음은 인간들의 삶 속에서 무한 반복되는 것이며 살아 있는 한 모든 사람에게 이 같은 부조리는 계속될 것이다. 이런 부조리한 삶을 사는 인간은 현실과 환상의 이중적 공간에서 살아야 하는 운명을 갖는다


Through the modern play Misunderstanding (1943), Camus sought to express absurd ideas in a realistic yet direct manner that is easier to sympathize with than presentations of ideas in classical plays. He showed that ordinary people can think in the same way as the mother and the daughter in the performance, who believe that even murder is justifiable for a happy life. He delineated absurdity through the structural aspect of a “play within a play,” the violence of murder, and the content-related facet of the tragedy of killing even one’s family. He clarified the reality and fantasy felt from the rejection of each person’s environment, in effect specifying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 “play within a play” structure of Misunderstanding refers to the traditional arrangement of the viewer and the viewed in classical plays pointed out by theater theorist Forestier and the expanded concept of the “play within a play” defined by Schemeling. In the mise en abyme of Misunderstanding, this structure takes the form of role distribution, as shown in scenes wherein the mother and daughter commit murder and wherein the son deceives the two. This structure was also defined by Kowzan. Misunderstanding is also a “play within a play” in the form of a meta-play that demonstrates a type of reflection on the whole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the actors. Misunderstanding, which is also the title of the work, consists largely of two parts. Whereas the mother and daughter believe that living in a fantastic house with a view of the sea, escaping from the reality of a remote country inn, is happiness, the son, Jan, leaves home when he is young, earns money, becomes successful, and enjoys a house with a view of the sea with his pretty wife, which remains a childhood memory. I think of a secluded inn in a rural village as a place of fantastic happiness. By showing this structural paradox, Misunderstanding uncovers the large-scale structure that arises from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being dissatisfied with one’s environment and wanting to own what one does not have, as is portrayed in the mother and daughter’s decision that murder is justifiable as a route to happiness. The play is divided into a small framework of misunderstandings, such as the misunderstanding that occurs when Jan returns successfully, and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mother and daughter will recognize them even if they do not speak. The justification for murder as a means of moving from a motel, a real space, to a fantasy space, a space of happiness for the mother and daughter, ultimately ends in death in the real space. Eternal happiness and insurmountable death are endlessly repeated in human life, and this absurdity will continue for everyone as long as they live. Humans who live such absurd lives are destined to exist in a dual space of reality and fanta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