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하이데거는 1928년 마르부르크 대학 여름학기 강의에서 “현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은 고유한 중립성(Neutralität)을 지니며, 이는 현존재가 두 “성별(Geschlecht)”가운데 어떤 것도 아님을 뜻한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 중립성은 “현존재”의 추상적 공허함이 아닌 그 본질의 근원적인 긍정성과 우월함을 내포한다고 하였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주장은 데리다의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의 주된 표적이 되어왔고 현대 현상학자들 간에도 이와 같은 중립적인 현상학적 주관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성별 뿐 아니라 젠더, 인종, 혈통 등의 뜻도 담고 있는 “Geschlecht”의 복합적 의미를 고려하면서 현상학적 주관으로서의 중립적 현존재를 해체하는 데리다적 접근과 함께, 젠더적 Geschlecht를 다루는 “비판적 현상학(critical phenomenology)”과 체험 일반의 정치성을 강조하는 “현상학적 정치학(phenomenological politics)”의 방법을 살펴본다. 이들은 모두 현상학의 중립적 주관의 추상성을 비판하면서 Geschlecht의 규정으로 인한 차이와 억압이 지배하는 사회역사적 맥락을 반영하려는 공통점을 지니는데, 해체전략과 다르게 후자의 경우는 현상학적 주관을 보존하면서 실천철학적 주관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사회역사적 맥락에 대한 사유와 저항적 실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입장들은 모두 타인과 공존하는 삶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당위에 대한 해명이 방법론적으로 배제되어 있기에 결국 판단중지(epoché)를 통한 사유와 실천의 방향이 자의적으로 분산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하이데거가 주장한 현존재의 고유한 중립성의 의미는 공허한 추상이 아닌, Geschlecht의 존재적 규정을 넘어설 가능성에 수반되는 “근원적 긍정성과 우월성”에 관계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필자는 하이데거의 중립적 현존재와 사회역사적 맥락에서의 비판적 주관은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며, 이들의 공존을 위해서는 존재론적 당위성으로 해명되는 공동존재의 가치 지향적 차원이, 중립적 현존재와 Geschlecht의 규정에 지배되는 경험적 주관 사이의 간격을 잇는 윤리적 주관으로서 현상학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his 1928 summer semester lecture at Marbug, Heidegger asserts that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Dasein possesses a unique neutrality, signifying that Dasein is neither of the two Geschlecht(gender). He indicates that this neutrality implies not the abstract emptiness of Dasein, but rather "the primordial positivity and power" at its core. Heidegger's claims have been a primary target of criticism against him by Derrida, and have become an indicator of the efforts among contemporary phenomenologists to overcome such neutral phenomenological subjectivity. In this paper, I examine the deconstructive approach of Derrida, alongside a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meanings of Geschlecht, encompassing not only sexual difference or gender but also race, lineage, etc., in dismantling the phenomenological neutrality of Dasein. I also explore so called "critical phenomenology" dealing with gender and "phenomenological politics" in emphasizing the political nature of lived experiences in itself. While all these approaches criticize the abstractness of phenomenological neutrality and highlight the dominance of socio-historical contexts dictated by Geschlecht, the latter two cases, unlike the deconstructive strategy, aim to rectify and preserve the phenomenological subjectivity and extend it into critical philosophy. Despit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asoning about socio-historical contexts and resistant practices, I argue through Husserl's concept of epoché that these positions, due to methodological exclusions of ethical oughts of being-with, ultimately lead to a dispersed direction in thinking and practicing. Furthermore, I emphasize that Heidegger's unique neutrality of Dasein does not imply an empty abstraction but instead is related to "the primordial positivity and power", associated with the possibility of transcending the ordinary regulations of Geschlecht. Through this, I contend that Heidegger's neutral Dasein and critical subjectivity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are not issues of either/or. For their coexistence, I assert that the phenomenologically elucidated value intentionality of being-with as ontological ought, should be presented as the ethical subjectivity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neutral Dasein and the they(das Man) regulated by Geschle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