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하고 있는 구술 기록과 구술 기록생산과정에 공론장 형성 기능이 있으며, 이것이 구술 기록의 공공성이라는 점을 드러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이를 위해 공론장과공공성을 논의하고 분석한 철학, 사회학, 정치학 분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기능과 공공성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구술 기록의 일반적인 특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논의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고(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이 수행했던 「2021년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업에 참여했던 시민면담자들의 구술 기획과 구술 기록, 구술 기록 해설로부터 공공성을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다수 찾아낼 수 있었다.


What kind of publicness is there in oral records? This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prepared three questions again. First, what is the public sphere and what is publicnes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ral records and other records? Third, has there been a case where oral records created publicness? This study analyzed the public sphere and publicity to achieve the purpose. Prior studies in philosophy, sociology, and politics were referen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role of the public sphere is to provide citizens with freedom of speech. Second, oral records can record alienated information and facts and enable interact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his was the publicness of oralrecords. This study proved this conclusion by analyzing the commentary by life history archivists who worked in the 2021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