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몽골어 감탄문에 대한 유형, 구성 및 그의 의미, 기능 등을 종합, 정리해 살펴보고, 이를 기 준으로 한국어 감탄문과 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몽골어 감탄문의 유형을 1) 문말 억양/어조 감탄문, 2) 서 술어 반복 감탄문, 3) 감탄사, 호칭어 감탄문, 4) 의문사 감탄문, 5) 첨사(양태 첨사) 감탄문 등으로 분류하고, 한국어 감탄문을 구성하는 감탄형 종결어미들과의 대응 예를 살피며 서로 대조 분석하였다. 우선 양 언어는 억양, 어조, 감탄사 등을 활용하여 감탄문을 실현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유사한 면이 있다. 그러나 몽골어와 한국어는 감탄문을 형성하는 방식에서 일부 차이를 보인다. 즉, 몽골어의 경우 감탄문은 평서 문, 명령문, 의문문의 문말 종결 형태가 변하지 않고, 대신 억양과 어조 등을 통해 감탄의 의미를 전달한다. 한편, 한국어는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을 구성하는 종결어미처럼 별도의 감탄형 종결어미를 사용해 감탄의 의미를 표현한다. 다시 말해, 몽골어는 감탄문을 형성할 때 문장 구조나 종결어미의 사용에서 큰 변화 가 없지만, 한국어는 감탄문을 형성할 때 감탄형 종결어미를 도입하며 문의 형태를 변화시킨다. 또한 몽골어는 종결 서술어 뒤에 각종 양태 첨사를 별도로 덧붙여 씀으로써 감탄문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한국어에는 이와 같 은 방법이 없다. 한국어에서 말하는 감탄문은 주로 1인칭 화자와 평서문 등에 상관되지만, 몽골어의 감탄문은 다양한 유형 (평서형, 명령청유형, 의문형)에 따라 1인칭 화자뿐만 아니라 2인칭, 3인칭 청자 모두와 관련지을 수 있다. 따 라서 의미상으로 1인칭 화자의 평서형 감탄문의 경우는 한국어 감탄문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지만, 2·3인칭 의 청자와 관련되는 명령·청유형 감탄문, 의문형 감탄문의 경우는 차이를 보인다. 즉, 한국어 감탄형 어미 ‘(는)군요, -(는)구나, ⋯⋯’ 등이 갖고 있는 처음 알거나 새롭게 알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감탄과 놀라움의 의 미뿐만 아니라 주의, 경고, 비난, 질책, 화냄, 언짢음, 귀찮음, 짜증냄 등의 의미가 들어간 주의, 경고문의 성격 도 짙어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composition, meaning, and functions of Mongolian exclamatory sentence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Korean exclamatory sentences. The types of Mongolian exclamatory sentences were classified into 1) sentence-ending intonation/tone exclamatory sentences, 2) repetitive verb exclamatory sentences, 3) exclamatory words, address terms exclamatory sentences, 4) interrogative word exclamatory sentences, 5) particle (modal particle) exclamatory sentences, etc.,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corresponding examples of exclamatory endings that constitute Korean exclamatory sentences. As a result,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ly, both Mongolian and Korean share similarities in expressing exclamatory sentences by utilizing intonation, tone, and interjection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way Mongolian and Korean form exclamatory sentences. That is, in the case of Mongolian, the sentence-ending forms of declarative sentences, imperative sentenc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do not change in exclamatory sentences, and instead, the meaning of exclamation is conveyed through intonation and tone. Meanwhile, Korean uses separate exclamatory endings to express exclamation, just like it uses different endings to form declarative, imperative, request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other words, while Mongolian does not undergo significant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or use of endings when forming exclamatory sentences, Korean introduces exclamatory endings and changes the form of the sentence when forming exclamatory sentences. Also, Mongolian forms exclamatory sentences by attaching various modal particle separately after the final predicate, but Korean does not have such a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