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술 분야에 적용되는 우연성과 공감각의 개념을 정리하고, 두 개념의 융합적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연성-공감각’의 상호동시적 관계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미적창발에 개입하게 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본 논문은 ‘우연성-공감각’의 개념 연구와 두 개념간의 융합적 관계성을 엿볼 수 있는 현대예술 작품 사례 조사 및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가의 자율적 판단과 개입, 불확정성을 내포하는 작업 과정은 잭슨 폴록과 줄리 머레투의 작품사례처럼 다양한 층위로 조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중 감각 간의 능동적 교류가 나타나게 되고, 표현의 폭이 확대되며, 해석의 다양성이 확보된다. 둘째, 존 케이지의 예술에서 확인할 수 있듯, ‘우연성-공감각’은 순수한 시간의 지속을 통해 우연성을 발현시킴으로 불확정적 이미지로서 존재한다. 이러한‘실존적 맥락’ 속에서 경험하는 감각 간의 전이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감각의 미적 창발을 일으킨다. 셋째, ‘우연성-공감각’은 에이젠슈타인 영화의 우연적 몽타주 효과와 극적인 음향 간의 융합이 주는 시너지처럼 감각의 복합적·능동적 전이를 생성한다. 또한 헬렌 마틴이 다양한 소재를 ‘상호관계화’하여 작품에 적용하는 것과 같이 감상자로 하여금 자율적 판단- 18 - 과 다각적 해석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술창작에개입하는 ‘우연성-공감각’의 개념적·실천적 중요성을환기하고, 예술 작품을 감상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권위적인 작품과 수동적인 관객이라는 기존의 예술 감상 구도에서 벗어나려는 현대예술의 단면을 이해하려는 일환이며, 앞으로도 ‘우연성-공감각’에 관한 융합적 고찰을 시도하는 예술학연구가 꾸준히 후속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began to organize the concept of results applied to the field of art and examine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ert the block-simultaneous relationship of 'contingency -synesthesia' into aesthetic emergence in some way.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study the concept of 'coincidence-synesthesia' and investigate and analyze an exhibition of modern art works that can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st's autonomous judgment, intervention, and work process, which involves uncertainty, affect formativeness at various levels, as in the works of Jackson Pollock and Julie Mehretu, resulting in active exchange between multiple senses,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is secured. Second, as can be seen in John Cage's art, ‘contingency-synesthesia’ exists as an indeterminate image by expressing contingenc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pure time. The transition process between the senses experienced in this ‘existential context’ causes the aesthetic emergence of synesthesia in various ways. Third, ‘contingency-synesthesia’ creates a complex and active transfer of sensations, like the synergy provided by the fusion between the accidental montage effect and dramatic sound in Eisenstein’s film. In addition, just as Helen Marten ‘correlates’ various materials and applies them to her work, it induces autonomous judgment and multifaceted interpretation in the view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recall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mportance of ‘contingency-synesthesia’ that intervenes in artistic creation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appreciating works of art. This is part of an attempt to understand a cross-section of modern art that is trying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art appreciation structure of authoritative works and passive audiences, and it is expected that art studies that attempt to converge on ‘contingency-synesthesia’ will continue to continu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