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정서조절곤란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서조절곤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고통 감내력, 정서조절곤란, 사회불안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고,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사회불안 준임상집단에 해당하는 대학생 4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고통 감내력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곤란이 고통 감내력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고통 감내력을 통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66 subclinical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ocial Anxiety Interaction Anxiety Scale-6 (SIAS-6), Social Phobia Scale-6 (SPS-6),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 Report (PCS-YSR),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and th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K-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stress tolerance, social anxiety, and emotion dysregulatio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ly, the mediation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established. Thirdly,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ocial anxiety was evident. Lastly, emotion dysregulation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through distress tolerance.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