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상황을 복잡성(Complexity), 역경(Adversity), 긍정적 유인가(Positive Valence), 중요성(Importance), 전형성(Typicality), 유머(humOr), 부정적 유인가(Negative Valence)의 7개 요인으로 분류한 CAPTION 상황 분류 모델이 한국 문화권에서도타당하게 적용되는 모델인지에 대한 문화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CAPTION 모델을 측정하는 척도인 CAPTIONs-SF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25-39세의 성인 남녀 431명이었으며, 설문 조사는 두 가지의 자료 수집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CAPTIONs-SF 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ituation Six 질문지 및 NEO 성인용 성격검사 단축형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 타당도와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기 다른 방법으로 수집된 두 자료의 구성 요인이 동일한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인 분석의 모델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으며, 수렴 타당도 및 준거 타당도 역시 검증되었다. 또한 자료 수집 방법에 따른 두 자료의 요인 구조에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어 CAPTION 모델의 문화적 타당성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ascertain the cultural validity of the CAPTION model as a situational taxonomy with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We assessed the CAPTIONs-SF scale for this purpose, targeting 431 adults aged between 25 and 39. Data collection involved two distinct methods, each set undergoing separate scale valida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an acceptable model fit. Convergen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established through correlations with the Situation Six questionnaire and NEO-Adult-PAS-SF . Furthermore, the two data collection methods revealed no differences in factor structure. These findings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CAPTION model with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and highlighted its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