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면우 곽종석에 대한 연구는 문학과 경학사상, 사학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는 19~20세기 영남에서 활동한 우리 근대 유학의 저명한 인물로 관료생활을 하지는 않았지만 경륜을 갖춘 通儒였으며, 직접 의병활동에 종사하지는 않았지만 우환의식을 갖춘 지사였고, 세도를 부지하고 인재를 양성하는데 전념한 교육자였다. 면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방대한 그의 문집인 󰡔면우집󰡕은 원집이 165권, 속집이 12권으로 도합 177권 63책의 거편이다. 워낙 문집의 분량이 방대하여 그 전체상이 아직 온전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파리장서운동의 유림대표로 활동한 것이 가장 강렬하게 부각되어 그 독립운동사의 지사로 평가되었지만 그의 진정한 면모는 한주 이진상을 잇는 영남의 유학자로, 회봉 하겸진에 의해 결산되는 󰡔동유학안󰡕을 이르게 하는 근현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학자로 평가하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의 학적 성과에 대한 평가에 앞서 학문적 여정과 지적 관심, 나아가 그 자원에 대한 성찰을 위한 탐색의 시도로 <면우문고>를 검토한 것이다. 문고 가운데 참고서류에 해당하는 中國史류와 國故典章류는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이다. 이는 면우가 한양을 출입하는 시기에 구득한 것으로 보이는데 주로 광서28년(1902년)을 전후하여 출간된 중국본이다. 중국 정사류는 주로 史學會社간본이고 국고전장류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중국의 다양한 출판사에서 출간된 것이다. 전통적인 주자학 문헌은 전래되어 내려왔던 것으로 보이는데 주자학의 핵심 저작인 󰡔주자대전󰡕과 󰡔주자어류󰡕, 󰡔성리대전󰡕 등의 장편을 완질로 다 가지고 있는 점이 눈길을 끈다. 문학으로는 한유를 비롯한 󰡔팔대가선집󰡕이 보이고 󰡔익재집󰡕, 󰡔삼봉집󰡕등 조선의 주요한 문인들의 저작도 보인다. 그리고 상당 부분의 저작은 1900년대 이후 출간된 경남지역의 문인들의 문집이다. 이 중에는 면우가 직접 서문을 작성한 사례도 있지만 꼭 자신이 서문을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교유했던 인물의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면우의 서재, <면우문고>에 대한 연구는 면우의 지적 원천과 저변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새로운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9~20세기 전통시대와 근대기에 독창적인 성리학을 구가했던 한주 이진상의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외세의 침략에도 견결하게 대응했던 그의 치열한 삶의 여정은 방대한 그의 문집인 󰡔면우집󰡕에 잘 나타나 있을 것이지만 그의 문고 역시 그 학문적 배경으로서 그의 학적 관심사와 지적원천 및 교유관계의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면우문고」에 대한 탐색은 응당 일차적으로는 면우의 삶과 사상을 이해하는 원천적 근거가 되는 것이지만 「면우문고」를 통해 우리의 근현대 유학자들이 어떠한 지적 자원을 통해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구축하였는가를 살펴보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연구로서도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on Kwak Jong-seok is very active in the fields of literature, Confucian philosophy, and historical studies. He was a prominent figure in our modern Confucianism who was active in Yeongnam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lthough he did not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he was an experienced Confucian scholar. Although he did not directly engage in volunteer military activities, he was a governor with a sense of well-being, and devoted himself to maintaining power and nurturing talented people. He was an educator. 󰡔Myeonwoojip󰡕, the most extensive collection of works among Myeonwoo's writings, consists of 165 original volumes and 12 supplementary volumes, making up a total of 177 volumes and 63 books. Because the volume of the collection is so vast, its overall picture is not yet fully understood. His activity as a Confucian representative of the Paris Book Collection Movement was highlighted most strongly and he was evaluated as a leader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his true character is that of a Confucian scholar from Yeongnam who succeeded Hanju Lee Jin-sa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him as the most notable scholar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who led to the 󰡔Dongyuhakan󰡕 concluded by Hoebong and Ha Gyeom-jin. This time, prior to evaluating his academic achievements, we reviewed his archives as an attempt to explore his academic journey, intellectual interests, and further reflect on his intellectual resources. Chinese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sections occupy the largest volume. This is a Chinese version that was mainly published around the 28th year of Guangxi(1902). The Chinese history books are mainly copies of historical studies, and the national records books were published by various Chinese publishers around the 1900s. It appears that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literature has been passed down,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contains all the major works of Confucianism, such as 󰡔Daejeon of Zhuzi󰡕, 󰡔Juzieoryu󰡕, and 󰡔Daejeon of Shengli󰡕, in complete form. In terms of literature, we can see the 󰡔Selected Works of Paldaega󰡕, including Han Yu, and the works of major writers of Joseon, such as 󰡔Ikjaejip󰡕 and 󰡔Sambongjip󰡕. And most of the works are collections of works by writers from the Gyeongnam region published after the 1900s. Of these, there are quite a few cases where Myeonwoo wrote the preface himself, but it is understood that even if he did not write the preface himself, there were quite a few cases of people he interacted with. Studying Myeonwoo's library, <Myeonwoo Library>, could be a new path to understanding the foundation of Myeonwoo's intellectual source. His intense life journey, in which he steadfastly responded to foreign invasions while inheriting the scholarship of Hanju Lee Jin-sang, who practiced original Neo-Confucianism in the traditional and modern era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s well revealed in his extensive collection of works, 󰡔Myeonwoojip󰡕. His archives can also be said to be a treasure trove of important documents that show traces of his scholarly interests, intellectual sources, and social relationships as part of his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the search for 「Myeonwoo Library」 is primarily a fundamental basis for understanding Myeonwoo's life and thoughts, but through 「Myeonwoo Library」, what kind of intellectual resources did our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use to build their studies and thoughts? It could also have considerable meaning as an important case study examin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