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김남조의 초기 시집들에 나타난 제목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의미와 기능을 탐색하고 있다. 그는 시집 제목을 선정할 때에 시집 속에 들어 있는 어느 한 작품의 제목을 뽑아서 그것을 그대로 시집 제목으로 선정해 왔다. 이런 점에서 시집의 제목이 된 그 시작품은 시집 전부를 대변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시집 전체의 의미를 수렴하고 확대하는 기능을 한다. 먼저 제1시집의 제목이 된 「목숨」의 시작품을 보면, 영적인 자아와 육신적인 자아가 갈등 대립하는 의미구조를 보여준다. 육신적인 자아는 죄나 회개보다 가장 먼저 목숨을 살려야 한다는 생명 우선주의를 고집한다. 반면에 영적인 자아는 먼저 죄를 회개하고 난 다음에 그 목숨을 살려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전자는 인본주의를, 후자는 신본주의를 보여준다. 이렇게 제1시집에서는 신앙과 현실이 길항하면서 “목숨”의 의미를 수렴 확산해주고 있다. 그러나 김남조는 제2시집의 제목이 된 「나아드의 향유」에서는 신앙적 자아로 단일화한다. 여기서 김남조는 가난하고 무지한 마리아의 행위, 곧 예수의 머리에 향유 붓던 마리아의 행위를 통해서 예수님과 복음으로 연합되는 놀라운 체험을 한다. 마리아가 향유를 붓는 행위는 물질적인 차원과 대립되는 ‘영적인 차원’이다. 곧 영적으로 예수님과 ‘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행위이다. 그래서 김남조도 예수님과 연합하기 위해 이에 해당되는 시 텍스트를 줄곧 산출하게 된다. 제3시집의 제목이 된 「나무와 바람」에서는 예수님의 사랑을 삶의 시공간에서 실천하려는 신앙적 자아가 중심을 이룬다. 제목에서 “나무”는 현실적인 삶을 상징해주고, “바람”은 그러한 나무를 흔드는 것을 상징해준다. 김남조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의 삶’을 포용하기 위해 예수님께 의지한다. 그것을 매개로 하여 겸손한 사랑으로써 모든 삶을 포용하기에 이른다. 그러한 사랑이 시 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생산해내는 에너지가 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titles in the early collections of poems by Kim Nam-jo, who is active as a Christian poet.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first poetry book, the poem "Life(1953)" is the title of the poetry book. The semantic structure shows a mixture of the spiritual self and the physical self. The spiritual self is that war broke out because of national sin, so you must repent first. In contrast, the physical self should do its best to preserve its life before repentance. Therefore, in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faith and reality navigate and reveal the meaning of "life." However, Kim Nam-jo unifies himself as a single religious self in his second collection of poems, "The fragrant oil of Nard" Here, Kim Nam-jo sees Maria's deep faith through her poor and ignorant actions, that is, pouring oil on Jesus' head. It's the death and union of Jesus. Kim Nam-jo also follows Maria to produce several Jesus-oriented works. In the meantime, it creates a semantic structure in which "I-Jesus" becomes one body. In this situation, Kim Nam-jo unified himself as a religious self in his third collection of poems "Tree and Wind." The religious self is the self to practice the love of Jesus. The title "tree" represents a realistic life, and "wind" represents what works in that life. The problem is that Kim Nam-jo becomes an ego shaken by this "wind." That is why it is not embracing the life of trees. But he is conscious of Jesus' eyes and tries to embrace all life as a humble love. Spread it out into a work of poetry. It cre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love is transferred to 'the eyes of Jesus → my eyes → the life of a tree'. In this way, Kim Nam-jo show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onverging faith and life into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