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북아시아 국가 간 관계에 관한 연구는 지속해서 확대됐으나 점차 특정 양국 간의 연구에 치중되는 경향이 발생하였으며 정보의 복잡성이 증대하며 분석의 한계가 발생했다. 하지만 GDELT 2.0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할수 있음에 따라 국가 간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동북아 6개국과 OECD 17개국의 데이터 약 2천만 건을 수집하여 국가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GDELT의 사건을 긍정과 부정으로 분리하고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해 국가 간의 긍정과 부정 관계의 차이, COVID-19 전후의 관계 차이를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부정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관계가 형성되어있으며, COVID-19 이후 긍정, 부정 네트워크 양쪽에서 모두 단절이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Research on North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has expanded but often focuses narrowly on specific bilateral ties. With the advent of large-scale GDELT 2.0 data,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six countries in Northeast Asia and 17 OECD nations from 2015 to 2023. I categorized GDELT events as positive or negative and used network analysis to study inter-country relations, identifying shifts pre- and post-COVID-19. The results show a prevalence of negative networks,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nections weakening after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