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우리나라 서원 9곳(영주 소수서원, 안동도산서원, 안동 병산서원, 경주 옥산서원, 달성 도동서원, 함양 남계서원, 장성 필암서원, 저읍 무성서원, 논산 돈암서원) 중에서 영남지역의 5곳 (영주 소수서원,안동 도산⋅, 경주 옥산서원, 달성 도동서원, 함양 남계서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선조 서원은 사대부에 의해 건립되었으나, 고종 8년(1871)에 이르러 서원 철폐령 인해 대부분 사라지기도 했다. 그러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서원 9곳은 당시 훼손되지 않았고 현존하였으며, 이 중 남아있는 영남지역 서원중에서 5곳이등재되었다. 당시의 서원은 조선조 영남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립교육기관으로 향촌 전반에 걸쳐 교육⋅정치⋅문화 등에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리나라 서원은 1543년(중종38) 풍기군수 주세봉이 유학자 안향(1243∼1306)을 기리기 위해 세운‘백운동서원’이 최초이다. 이후 서원은 유교이념의 ‘사림’이 주축이 되었으며, 서원의 건축물과 주변의 지세, 사람과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공간이 되었다. 이러한 영남서원의 입지는 풍수지리사상이 내재되어 공간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 현존하는 것은 명당의 지기를 지속적으로 받는 터에 자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서원연구는, 인문학⋅건축학⋅문화재학 분야에서 서원의 공간배치, 서원의 건축유형, 문화적가치 등이 주로 진행되었다. 풍수지리학 분야는 지역별 서원을 대상으로 현존하고 있는 지속성에 대해, 입지공간의 터잡이가 어떠한 지기의 역량에 따른 것인지를 밝히는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서원 연구는 여러 분야서 진행되었지만,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서원을 중심으로 입지 및공간구성에 대한 풍수지리적 비교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5곳 영남지역의 서원은 당시 어떠한공간에 입지를 정한 것인지, 서원건축의 공간배치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입지선정시 적용된 공간설계는 현존하고 있는 터의 역량이 풍수지리적으로 어떠한 곳인지를 고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첫째, 서원입지는 풍수지리의 형세론을 적용하여 고찰하였고 둘째, 간풍수지리의 논리체계인 산세, 지세, 수세, 정혈, 좌향, 비보에 대한 풍수지표를 비교분석하여 서원의 공간구성을 비교분석을 한 것이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in the Yeongnam region was an educational space established by the disillusioned nobleman to lead the hyangban society, the geography of feng shui at that time seems to 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location and design of the space. It was found that the five seowons were established by applying feng shui geography so that the topography and spatial design in which the mountains and water were in harmony and balance with each other could continue to exist.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location of the Seowon was established in the place where the central dragon of Jusan built Hyeonmu-bong and then the central dragon vein stretched down and formed a ‘ying’. Second, in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eowon, the shrine, which is an orientation space, and the pulpit, which is an educational space, were placed as vertical ax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aengsaenggi of Yongmaek. And by arranging the east and west material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ulpit and the narrow gates on the front, the space was arranged with four shrines, so that the keeper of the seowon could stay in the courtyard space.Third, a ‘jidang’ or ‘ru building’ was erected in front of the site to make a treasure trove so that the leeway of the site of the seowon space could no longer stand up.Fourth, the deuksu of the seowon appears to have favored the leftward direction in which the flowing water takes the form of an archer or inverse water after the stream originating from Jusan forms a jidang, and the Yongmaek and the waterway are in harmony and balanc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ite of the five seowon sites in the Yeongnam region registered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at that time was located in a place where Juryong was not damaged and received strong support. This fac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spatial design with the idea of feng shui geography was made at the time of site se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