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로컬의 전 지구적 횡단의 시대, 시장의 취향을 고려하여 혼종화 된 상품이 만들어지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상품이 특정 지역에서 오랫동안 소비되고 향유되면서 문화로 자리 잡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혼종화 된 상품이 다른 지역에서 새로운 전통과 문화가 될 수 있다면, 그 요건은 무엇일까? 이 글에서 우리는 유럽에서 만들어진 왁스 프린트를 통해 식민지 시대 혼종화 된 상품이 아프리카의 문화가 될 수 있었던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혼종화 된 상품의 지역 현지화는 로컬의 문화적 전통과 연결되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세계화’ 차원에서 전 지구적으로 유통되는 상품을 문화의 관점에서 성찰해야 하는 이유는 소비되고 마는 상품과 달리 문화는 사람들의 삶과 정신을 담아 세대를 이어 전해지고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프리카 대륙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아프리카 왁스를 문화의 관점에서 봐야 하는 이유도 그것을 상품으로 만들어 낸 서구 중심적인 관점이 아니라 문화로 만들어 낸 아프리카의 관점에서 로컬 문화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탈영토화된 문화의 재영토화’라는 개념을 빌어 인도네시아 바틱이 네덜란드 바틱, 중국 바틱, 일본 바틱 등으로 혼종화 되면서 탈영토화되고 아프리카에 들어와 아프리카 바틱의 전통과 연결되어 아프리카의 직물로 재영토화되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아프리카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왁스 프린트를 그것이 만들어진 인도네시아나 유럽이 아니라 소비지였던 아프리카의 문화적 전통과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은 식민지 시기 만들어진 혼종화 된 상품을 미래 세대가 자신들의 로컬 문화로 연결해 이어가기 위해서 풀어야 할 과제라는 점에서 식민지 경험이 있는 우리에게도 성찰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In an era of globalisation and global-local traversal, hybridised products are created in response to market tastes, but it is not easy for such goods to be consumed and enjoy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 particular region and become a culture. So what are the requirements for hybridised goods to become a new tradition and culture in another reg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ocalisation of a hybridised commodity must be understood and connected to its local cultural context by identifying that the reason why a hybridised commodity called African wax became a culture in Africa was because it was connected to the origins of a local culture called African batik. The reason why cultural commodities circulating globally in the context of ‘globalisation’ need to be reflected 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is that, unlike commodities that are consumed, culture carries the lives and spirit of people and is passed 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frican wax, which is now distributed globally beyond the African continent, should also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not from the Western-centric perspective of making it a commodity, but from the African perspective of making it a cul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and importance of local culture. In this article, I use the concept of ‘reterritorialization of deterritorialised culture’ to identify how Indonesian batik was deterritorialised when it was hybridised with Dutch batik, Chinese batik, Japanese batik, etc. and reterritorialised as an African textile that was culturally consumed in Africa and linked to African batik. Understanding African wax, which is considered a symbol of Africa today, by connecting it to its cultural origins in Africa rather than Indonesia or Europe, is also reflective for those of us who have experienced colonial period, as it is a challenge for future generations to connect the hybridised cultures created during colonisation to their own local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