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설화 <여우 잡은 소금 장수 본뜨다가 살인하기>유형의 서사 구조를 살핌으로써, 피모방자의 행운과 모방자의 불운의 원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모방의 의미까지 함께 논의하였다. 첫째, 설화 <여우 잡은 소금 장수 본뜨다가 살인하기>유형은 삽화Ⅰ은 소금 장수가 서사의 주체로 ‘결핍-사건 탐색(성공)-행운’, 삽화Ⅱ는 모방자 어떤 사람이 서사의 주체로 ‘결핍-사건 탐색(실패)-불운’의 서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서사 구조 속에서 피모방자 소금 장수와 모방자 어떤 사람의 행운과 불운의 갈림은 ‘사건 탐색’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갈려진다. 둘째, 피모방자 소금 장수는 여우가 사람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눈앞에서 목격하게 되면서, 이러한 사건이 왜 자신이 목격하게 되었는지 그 사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주체성과 위험을 감수하는 적극적인 태도로 사건 탐색 과정을 면밀하게 진행한다. 이에 반해 모방자 어떤 사람은 치부라는 목적에 현혹되어 사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탐문이나 관찰 등의 주체적 탐색 과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모방자는 탐색 과정의 실패로 미성숙한 태도를 일관하다가 잘못된 모방으로 사람을 죽이게 되는 불운한 상태로 전락되고 만다. 셋째, 올바른 모방은 모방의 대상자와 내적 논쟁을 통해 자기화해가는 과정에서 모방자 자신의 주체적인 가치관이 반영된 창의적 재현이라 하겠다.


By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olktale <Fox Caught Salt Soldier >, this paper identified the causes of the misfortune of the accused and the misfortune of the imitator, and even discussed the meaning of correct imitation.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narrative type of "Murder while copying the salt general caught by a fox", Illustration I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deficiency-event search (success)-lucky" a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and Illustration II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deficiency-event search (failure)-unfortunate" a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by an imitator. In this narrative structure, the crossroads between the luck and bad luck of a person who is a copycat and a salt general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success and failure of "event search". Second, the imitated salt general closely conducts the event search process with a subjectivity and a risk-taking attitude to accurately grasp why such an event came to be witnessed, as he witnessed it in front of his eyes. On the other hand, some imitators are deceived by the purpose of public opinion and do not proceed with the subjective search process such as inquiry or observ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vent. The imitator continues to behave immaturely due to the failure of the search process, and then is reduced to an unfortunate state in which he kills people with a false imitation. Third, correct imitation is a creative representation that reflects the subjective values of the imitator's assets in the process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internal debate with the subject of im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