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례없는 고령화 속도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노인자살률로 인해 사회적으로 노인 자살예방 및 자살률 감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높은 노인 자살률을 보이는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노년층을 둘러싼 가족 및 친구, 이웃주민 등 개인적인 관계 내에서의 비공식적 자원뿐 아니라 지역사회 내 복지 관련 시설 및 인력 기반의 공식적 자원 등 사회적 자원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과 지역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인수준의 데이터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2차 자료로, 10,299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가족, 친구 및 이웃 간 관계 만족도, 지역사회 및 여가문화 활동 만족도로 비공식적 자원의 영향력을, 지역사회 내 인프라의 접근성으로 공식적 자원의 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지역수준의 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되는 지역별 지표들을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의 17개 시도는 다층모형 분석의 기초모형 검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수준에서 가족관계 만족도(-) 및 사회여가문화생활 만족도(-)가 비공식 자원으로, 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 소요시간(+)이 공식 자원으로, 지역수준에서는 정신보건센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보건소(-) 인력이 공식적 자원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 자살 위험에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개인 및 지역수준의 사회적 자원 강화를 통해 자살 예방의 정책적⋅실천적 개입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an unprecedente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Korea has the highest rate of elderly suicide among OECD countries. Urgent action is needed to prevent such suicides and reduce the overall suicide rate i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mpact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in a rapidly aging society with a high incidence of elderly suicide. The focus is on social resources, which encompass both informal means within personal relationships like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formal resources like welfare institutions and community-based human services. The study used 10,299 participants’ secondary data from the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which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formal resources were gauged through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community,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Meanwhile, formal resources’ impact on suicidal ideation was determined by their access to the community infrastructure. Data at the local level were analyzed using a set of local indicators available on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Multilevel model testing showed that seventeen of the analyzed municipaliti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individual level, informal resources such a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leisure, and cultural life (-)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In contrast, formal resources, including time spent at senior welfare centers and social welfare offices (+), played a positive role. At the local level, the availability of formal resources such as staffing at mental health centers (-), social welfare officers (-), and public health centers (-) also influenced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Strengthening social resources at the individual and local levels can serve as protective factors against the risk of elder suicide. Such an approach can be applied as both policy and practice interventions for suicide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