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연오랑 세오녀>가 지닌 신화적 성격을 다시 한 번 살피기 위한 것이다. <연오랑 세오녀>는 주로 고대 한일관계를 살필 수 있는 텍스트로 다뤄지면서 다양한 성과가 축적된 작품이다. 선행연구의 성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오랑 세오녀>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텍스트이다. 역사적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하고, 고대 한일관계를 살필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더 근본적으로는 여성이 문화의 창조나 문제 해결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신화적 세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연오와 세오가 겪는 두 가지 문제는 부부의 문제이면서 고국의 문제라는 이중적인 맥락에 놓이게 되는데 이 문제 해결의 과정에 창조신화에서부터 나타나는 여성의 활동과 능력 발휘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오가 창조적 여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은 남편을 따른 도일의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을 수 있다. 이들의 도일은 존재적 전환을 가능케하고 자신들이 떠날 수밖에 없었던 신라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 해결은 여성의 창조적 능력을 통해 이뤄진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여기에는 여성의 능력 발휘가 중요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가정회복신화, 창조신화가 응축되어 있다. 이 이야기의 의미는 이처럼 여성신에 내포된 다층적 신화적 사유를 내포한 이야기가 남성을 위한 질서 속에 재편되었고, 그 질서를 위협하는 문제를 마주했을 때 동원된다는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왕권의 문제와 같은 역사시대의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문제를 고대의 신화적 사유와 여성의 노력과 능력으로 해결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ythical dimensions of <Yeono-rang Seo-nyeo>, a work widely recognized for its role in exploring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Positioned as a text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Yeono-rang Seo-nyeo> not only symbolizes historical facts but also functions as a gateway to understanding the ancient Korean-Japanese relations. More fundamentally, it unveils a mythical world where women assume pivotal roles in the creation of culture and problem solving. Yeono and Seo encounter dual challenges that intertwine a couple's dilemma with issues pertaining to their home country. It is evident that resolving these issues inherently involves the activities and abilities of women, emerging from the realm of creative myth. Seo's manifestation of the creative goddess may potentially be attributed to her journey accompanying her husband to Japan. Their relocation to Japan initiates a transformative journey, addressing the challenges stemming from their forced departure from the Silla Dynasty. This holds particular significance as it is achieved through the creative abilities of women. Here, the family recovery myth and the creation myth converge, highlighting women'sabilities as the key to resolving important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ory lies in its revelation that the tale, rich with multi-layered mythological thinking inherent in the female god, underwent a reorganization tailored for men. This reimagining was mobilized when confronting problems that posed a threat to the order. Its importance lies in its ability to resolve problems prevalent in a male-centered society of the historical era, such as the challenges to royal authority, employing ancient mythological thinking and leveraging the efforts and abilities of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