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첫째, 19세기 駱山詩會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北社의 趙冕鎬·申錫愚, 南社의 徐有英·金尙鉉 등이 駱山詩社(駱社)에서 활동했음을 언급해 왔으나, 낙산시회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에 시회의 구체적 장소와 참여 동인들의 명단을 제시하고, 그 활동 양상을 살폈다. 둘째, 낙산시회가 이뤄진 공간인 芍玉 洪鐘應(1803~1866)의 別墅, 駱山 醉石亭을 조명한다. 취석정은 북촌시사의 동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北社·南社·東社의 참여 문인들이 대대적으로 교유 활동을 펼친 문화 공간이었다. 본고의 연구방식은 󰡔芍玉集󰡕·󰡔海藏集󰡕·󰡔玉垂集󰡕 등 주요 참여자들의 문집과 더불어 󰡔槎橘󰡕이라는 자료를 교차 확인하며 낙산시회의 활동양상을 재구하였다. 󰡔사귤󰡕에는 낙산시회를 총 3편의 詩題로 나누어 구성했다. 「駱山韻」·「復會駱山」·「駱山雅集」이 바로 그것이다. 홍종응의 취석정은 낙산시회 뿐만 아니라, 1860년 북사·남사의 교류 현장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862년 남사와 북사의 합사가 이루어지고, 1863년 북사·남사·동사의 합사는 바로 취석정에서 결행되었다. 이로써 낙산 취석정 시회는 19세기 서울 내 대형 시사 모임을 주도하고 이후 시사 간의 대대적인 결합을 도모한 장소로 의미가 깊다. 첫째, 지금까지 막연하게 예측되었던 낙산시사의 실체를 확인한 것이다. 둘째, 19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과 문예적 교유의 한 현장을 짚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서울 낙산의 지역사 연구는 물론, 낙산의 지역성을 문화·문학 콘텐츠로 개발하는 사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Naksan Poetry Club.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Jo Myŏn-Ho(趙冕鎬)·Shin Sŏk-woo(申錫愚) of Buksa and Sŏ Yu-Yŏng(徐有英)·Kim Snag-Hyŏn(金尙鉉) of Namsa were active in the Naksan Poetry Club in the mid-19th century. But, there has been no full-scale research on the reality of Naksan Poety Club. Accordingly, the specific location, list of participating members and the activities of the Poetry Club were examined. The second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se places for the first time: Villa(別墅) of JakOk Hong Jong-eung(芍玉 洪鐘應, 1803~1866) and ChuiSŏkJeong(醉石亭) in Naksan(駱山), where the Naksan Poetry Club was held. ChuiSŏkJeong was not only a favorite place for members of Bukchon poetry club, but also a cultural space where participating poets from Buksa(北社)·Namsa(南社)·Dongsa(東社) in Seoul exchanged extensively. This paper's research method cross-checked the anthologies such as 󰡔Jakokjip(芍玉集)󰡕·󰡔Haejangjip(海藏集)󰡕·󰡔Oksujip(玉垂集)󰡕 and the data called 󰡔Sagyul(槎橘)󰡕 to re-examin the activities of Naksan Poetry Club. In 󰡔Sagyul(槎橘)󰡕, Naksan Poetry Club is organized into three title: 「Naksanwoon(駱山韻)」·「BuhoiNaksan(復會駱山)」·「Naksanajip(駱山雅集)」 In 1860, Hong Jong-eung's ChuiSŏkJeong Poetry Club was used as an exchange site between Buksa and Namsa. Later, in 1862, the merger of Namsa·Buksa was established, and in 1863, the merger of Buksa·Namsa·Dongsa was established at ChuiSŏkJeong. As a result, the ChuiSŏkJeong is meaningful as a place that led large poetry gathering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and later promoted a large-scale combination of poetry club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firmed the reality of Naksan Poetry Club, which has been vaguely predicted so far. In particular, the need to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Dongsa' was raise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regional history of Naksan. This study, which revealed Naksan ChuiSŏkJeong, could help the project to develop the regionality of Seoul into cultural and literary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