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저소득 빈곤청년의 탈빈곤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고 있는 청년자활사업에 대한 청년 당사자와 원조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년 자활사업의 효과와 한계 그리고 자활사업의 미래를 고찰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청년참여자 14명과 사업담당 실무자 17명의 초점면접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자활에서 중요하게 다룬 개념을 개관하였고, 의미연결망 분석으로 청년자활의 맥락과 구조를 파악하였다. 끝으로 청년자활사업의 토픽분석을 통해 사업내용과 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청년참여자는 3개의 토픽, 실무자는 2개의 토픽으로 유형화 되었다. 청년참여자의 경우, ‘일 경험과 기회로서 자활사업’, ‘관계와 근로와 복지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자활’, ‘자기변화에 대한 자각과 효능감 증진’으로 토픽이 정리되었고, 원조자는 ‘청년 적합형 자활모형의 필요성’, ‘청년의 활력과 불성실 및 낮은 성과에 대한 매뉴얼 요청 “으로 토픽이 정리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자활사업에 대한 차별화된 사업운영과 장기적 관점에서 사업모형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young people and supporters regarding youth self-sufficiency projects that are being carried out to support low-income poor youth to escape poverty. Text min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youth self-sufficiency projects and the future of self-reliance projects. The concept of youth self- sufficiency was outlined using data from focus interviews with 14 youth participants and 17 practitioners, and the context and structure of youth self-sufficiency were identifi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ally,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opic analysis of the youth self-sufficiency project, and youth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opics and practitioners into two topics. In the case of youth participants, topics were organized as “self-sufficiency projects as work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self-sufficiency as an interface between relationships, work and welfare,” and “promotion of awareness and efficacy of self-change,” while supporters were organized as “needs for a youth-appropriate self-sufficiency model” and “flexible manual requests for youth vitality, insincerity, and low performance.”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usiness model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differentiated business operation for youth self-sufficiency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