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오늘날 민속을 둘러싸고 있는 정동이 대체로 부정성에 기초해 있는 경향이 강한 데다 그러한 통념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른바 ‘민속의 정동’을 전환적으로 생각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 홍동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협동적 문화실천 사례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특히 이 지역 실천의 현상 그 자체를 정합적인 방식으로 제시하기보다는 그것이 나타내고 있는 정동론적 함의를 중심에 두고 검토하였다. 이 글이 삼은 논의의 출발점은, 정동 이론이 함축하고 있는 사유의 결 위에 민속을 놓게 될 때, 그것은 새로운 요소와 계기들 속에서 언제나 절합되는 현대적 재현과 변환의 과정들을 통해 기원이나 척도 그리고 그 경계를 새롭고 유동적으로 구성한다는 해석 내지는 규정이 가능해진다는 점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오늘의 사회장과 문화장에 적극적으로 접속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끊임없는 변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민속을 생각하고자 했다. 나아가 이 글은 공동체문화라는 문제계와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민속지식 생산의 새로운 배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 또한 지적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사회가 그려온 역사적 차원의 어느 한 지점에서 출현할 수 있었던 종래의 사회적 연대 담론이 그 안에 집합성이나 동일성, 그리고 정체성과 계급성을 내포함으로써 개체들의 자유와 해방을 억압하는 식으로 전개되었다면, 이 글이 정동론적 관점에서 연구 대상을 볼 때 특히 주목하는 것은 ‘이질적인 존재들의 연대’이다. 이 글은 이것이 기존의 사회장에 기입되었던 것과는 다른 방식의 연대라는 점과 함께, 해당 사례가 이미 할당되어 있는 정동의 자리로부터 벗어나, 위기 대응과 맞물린 대안 추구의 반복적 과정 속에서 구체적인 신체와 생각의 부대낌을 통해 자신들의 삶 양식 자체를 끊임없이 수정해가면서 대안적인 정동 체제를 구성해왔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해당 사례가 특수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동시대적 현상에 해당한다는 데에 그 정동론적 함의가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분명한 것은 현행화되고 있는 오늘의 공동체문화 실천들이 자신들의 실천 역사가 점점 두터워짐에 따라 상이한 욕망들이 끊임없이 충돌하고 경합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으며, 이것이 한국 사회의 정동적 지형을 대유한다는 점이다. 앞으로는 이 점에 천착하여 공동체문화(혹은 민속)의 정동에 대한 논의가 좀더 진척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raise the issue of the fact that the affect surrounding folklore today tends to be largely based on negativity, and that such conventional wisdom still prevails, and to consider the so-called ‘folk-affect’ transformationally. To this end, we paid attention to the case of cooperative cultural practice in Hongdong, Chungcheongnam-do. The starting point of this article's discussion is that when folklore is placed on the foundation of affect theory, it can be interpreted as fluidly constructing new origins, scales, and boundaries through modern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es that are always combined in new elements and instruments. If the conventional discourse of social solidarity in Korean society has been developed in a way that suppresses the freedom and liberation of individuals, what this articl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s the ‘solidarity of heterogeneous beings.’ This article pointed out that this is a different way of solidarity. And the article argued that its affective implications are that it has formed an alternative affective system by constantly modifying its lifestyle itself through the generosity of specific bodies and thoughts in the repetitive process of pursuing alternatives coupled with crisis response, and that the case corresponds to a contemporary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not a special one. Today's community culture practices are becoming a place where different desires constantly collide and compete as their practice history grows thicker, and this represents the affective landscape of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