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백정의 신분 차별 철폐와 평등 사회를 실현하려는 형평운동의 연구 방법과 내용을 되짚어보려는 것이다. 1990년대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이후 다각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내용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초기의 자료는 당시의 신문 잡지 중심으로 활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일제 관헌 문헌을 비롯한 자료가 정리된 사료집이 발간되어 연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형평운동 역사의 복원과 함께, 복합적이며 역동적인 전개 과정과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역사사회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형평운동의 사회적 조건을 탐구하며 형평운동 이전과 이후 역사를 규명하여 백정의 삶과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사회운동으로서 형평운동의 지도집단, 조직, 활동 참여자 등을 규명하여 참여자의 복합적 성격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 존중과 인권 회복을 주장하는 인권운동과 백정 공동체 권익 증진을 위한 공동체운동의 형평운동 성격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제강점기에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사회운동으로서 형평운동의 사회적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형평운동 반대 세력과의 갈등과 충돌, 사회운동 단체와의 협력과 연대, 일제의 감시와 통제 등이 형평운동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형평운동은 전통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서 인권 증진의 과정, 백정 전통 산업의 변화, 일제강점기의 역동적 흐름 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on the Hyongpyong Movement which attempted to abolish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paekjong and to establish an egalitarian society. Since the 1990s, researchers have accelerated their efforts to find the various subjects on the Movement using diverse methods.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main materials for the studies were the articles of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covering the Movement events. Nowadays, however, researchers can find proper material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compiled materials books on the Movement with sources produced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The main purposes of the research were to rest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Movement and to analyze the dynamics and complexity of the Movement.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social conditions for producing the Movement with the historical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also to examine daily life of paekjong and their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in transition. It also finds the complex aspects of members of the Movement through its leaders, organization, and active participants. And it understands the purposes and aims of the Movement which consists of two elements in their activities: the recovery of human rights for human dign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tarian interests. Finally, it understands the social dynamics as a soci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particular, these reveal that the process of the Movement were influenced by the conflict of paekjong with the antagonistic groups against the Movement, paekjong’s solidarity with other social movement groups, and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In conclusion, the Hyongpyong Movement is a historical example that showed the social process in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society to a modern one which includes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the transformation of the inherited paekjong industry in Choson society, and the complexity of social activitie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