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95년 이후 급속하게 진전된 미나마타병 사건(水俣病事件)의 내셔널 히스토리화 움직임에 초점을 맞춰, 이에 저항하는 것으로서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1960~70년대 저작을 분석한다. 이시무레는 미나마타병 사건에서 ‘기민(棄民)’의 구조를 파고들며 ‘고향(故郷)’의 역사를 되짚어가는 중에 조선 반도에서의 일본 식민지주의 역사와 직면하고, 자신이 피해와 동시에 가해에 연루되어있음을 자각하게 된다. 그 과정의 묘사를 분석함으로써, 거기에서 생겨나는 ‘뒤틀림(ねじれ)’을 받아들이며 그곳에 버텨서는 이시무레의 자세를 읽어낼 수 있다. 본 논문은 역사와 기억을 계승해감에 있어서, 그러한 ‘뒤틀림’을 자기 안에서가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풀어가는 일에 하나의 윤리적인 것의 맹아가 있음을 제기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inamata case into a national history after 1995 and analyses Ishimure Michiko's writings of the 1960s and 70s as a counterbalance to this trend. Ishimure explores the structure of ‘abandonment’(棄民) in the Minamata case and, in tracing the history of her ‘homeland’(故郷), she comes to realize that she has been both a victim and a perpetrator when confronted with the history of Japan’s colonialism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analyzing her description of this process, we can read Ishimure's attitude of accepting remaining within the ‘twist’(ねじれ) with which it was confronted there. This article finally proposes that the unraveling of this ‘twist’, which comes from being both victim and perpetrator at the same time, not within oneself but in relation to others, is the germ of an ethic for the inheritance of history and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