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시대의 科擧는 응시자인 양반에게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권위와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었고, 몰락한 가문에게는 부흥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향촌에 머무는 사족에게는 개인과 지역의 영광을 가져다줄 수 있는 제도로 여겨졌다. 물론, 과거제도의 폐단과 과거 공부의 무용함을 비판적으로 보고 이를 인생의 과업으로 삼지 않은 경우도 다수였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恩遊日記』는 저자 申象岳(1713~1767)이 53세의 나이에 生員 會試에 응시하기 위하여 한양에 가서 시험을 치르고 入格한 순간의 모습을 기록한 일기로, 이는 조선후기의 나이 든 지방 유생이 과거를 대하는 모습과 삶의 한 면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恩遊日記』는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된 것이 유일본으로 현재까지 해제 이상의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는데, 1765년 2월 문경을 떠나 한양에 머물며 시험을 준비하고 다시 고향에 돌아가는 5월까지, 채 다섯 달이 되지 않는 기간에 자신이 이동한 장소와 만난 인물들 그리고 벌어진 일화들을 간략하게 남겨두었다. 지방 유생으로서 겪게 되는 여정과 애로사항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科擧場의 풍경, 放榜禮와 謝恩禮 등의 행사 의례의 현장이 묘사되어 있으며 英祖代에 바뀐 복식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 등이 있어 科擧 관련 연구 문헌으로서 다뤄볼 가치가 있다. 신상악이 그동안 몇 차례에 걸쳐 科擧에 응시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小科에 입격한 영광스러운 감정이 잘 드러나있으며, 영남의 유생으로서 그 뿌듯함과 속상함도 기록하고 있다. 『恩遊日記』을 통해 조선후기 지방 유생이 겪은 科擧場의 안팎을 살펴보고 자료적 의미를 재고하고자 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provincial scholars taking the past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the scenery of the examination hall through ‘EunYoo-diary’ written by Shin Sang-ak(1713~1767). Additionally, purpose to identify the literary value of ‘EunYoo-diary’ EunYoo-diary is written by a provincial scholar ‘Shin Sang-ak’, who was a resident of Mungyeong(聞慶), Gyeongsangbuk-do, South Korea. He wrote this diary while preparing for and taking Civil Services Examination(生員 會試) at the age of 53 in 1765. He departed from Mungyeong on January 29th to travel to the Seoul City(Hanyang) for the exam, and passed the ‘小科’ on February 8th. After returning home, he spent time with his family and visited the tombs of his ancestors. He recorded his travels for approximately 130 days until May 10th. The copy held by Dongsan Library at Keimyung University is the only existing Manuscriptof the diary. During stay in Ban-chon(泮村), Shin Sang-ak did not travel for sightseeing, but he recorded where he visited and whom he met. He selected people to enter the examination hall with him, and they evaluated each other's writings and prepared for the Hak-lye-gang(學禮講).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discomfort he experienced financial problems and poor living conditions, the friction with the people he lived with honestly. Furthermore, through his diary, we can speculate on the state of the examination halls in the 18th century and we can take note of the change in traditional dress cultur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英祖). Shin Sang-ak expressed the perspective of a provincial student who left for the examination. This study was able to specif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ustoms of past examina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英祖, moving beyond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EunYoo-diary’ has value as a literature source material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diaries(科擧日記)’ in various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