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洪聖民은 花潭學派에 속한 학자로서 팔백 여수의 시를 남겼다. 그의 시는 맑은 사물을 자주 묘사함으로써 마음의 本體, 즉 天機에 대한 지향을 드러낸다. 아울러 마음의 본체를 보존함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快活의 경지를 표출하였다. 이러한 정신경계는 徐敬德이 지향했던 경지이기도 하다. 그는 또한 本然의 마음에서 유출되는 眞情을 시에 자주 표현하였다. 시에 흔히 대화, 인용의 방식을 구사하여 󰡔詩經󰡕에서 표현한 올바른 性情을 전하려 한 것이다. 그의 시에서 眞情은 가족, 친지, 군주를 향한 것일 뿐 아니라 미천한 사람들을 향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가운데 그는 미천한 이들을 자신과 대등하게 바라보는 平等의 시선을 드러내곤 하였다. 홍성민의 시는 서민들과 眞情으로 교류하는 가운데 商行爲를 점차 긍정해가는 심리적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經世的 側面을 지닌 시에서는 眞情에 기반을 둔 王道政治를 역설하기도 하고 心性과 天道에 근거를 둔 公道의 정치를 내세우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天機, 眞情, 平等, 商行爲와 같은 홍성민 시의 화두는 花潭學派의 신선한 면모이자 조선후기 文學과 實學의 發興을 추동한 因素들이라 할 수 있다.


Hong Seong-min, a scholar in the Hwadam School, left approximately 800 poems, His poems, most of all, reveal his orientation to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human mind or Cheongi(天機) by often describing clear objects. They also frequently depict the stage of vivacity that people can reach by preserving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human mind. This spiritual stage was all sought after by Seo Gyeong-deok. The poet also embodied genuine feelings spilling from one's natural mind, wishing to convey the true feelings expressed in the Book of Odes by using the common methods of conversation and quotation in his works. In his poems, genuine feelings flow toward people of a humble origin as well as families, relatives, and monarchs as he displays his viewpoint of equality to see everything in the world as his equals. Hong's poems also show his psychological changes to gradually become positive about commercial activities as he engaged in real exchanges with ordinary people in the business. In his poems where he tried to govern a country, he highlights rule by virtue based on genuine feelings and pushes forward politics of justice based on Cheongi. In conclusion, the topics of Hong's poems such as Cheongi, genuine feelings, equality, and commercial activities show the fresh aspects that set him apart from other moral philosophers and represent the elements that drove the emergence of literature and Silhak(實學) in late Joseon(朝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