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상황적 행동이론(SAT) 중 PEA 모델에서 필수적 과정이자 정신적 과정인 인지-선택 과정 및 도덕적 필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5년 청소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총5,15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낮은 자기통제력과 여러 차원의 도덕성의 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변수에서 낮은 자기통제력 및 모든 도덕성 요인들이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효과에 대해서는 도덕적 규범만이 자기통제력과 상호작용하여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규범의 수준에 따라 자기통제력의 효과가 달라져, 도덕적 필터 및 인지-선택 과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데이터의 한계, 방법론적 한계에도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연구되지 않는 상황적 행동이론(SAT)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경험 연구에 기여했으며, 도덕적 규범의 중요성을 시사하여 정책적 제언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essential mental processes, namely the perception-choice process and the moral filter, in the PEA model within the Situational Action Theory(SAT).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w self-control and various dimensions of morality on cyberbullying among a total of 5,151 adolesc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low self-control and all mor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cyberbullying. Concerning interaction effects, only moral rule interacted with self-control, impacting cyberbullying. Additionally, the effect of self-control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oral rule, supporting the role of the moral filter and perception-choice process. Despite limitations in the secondary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the seldom-studied Situational Action Theory(SAT) in the domestic context, contributing to experiential research and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or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