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1980, 이장호)에 대항담론으로서 민중주의의 코드만큼이나 멜로드라마와 청춘물의 코드가 혼종 되어 있었던 국면을 원작 소설 〈우리들의 넝쿨〉(1979, 최일남)에서의 각색 양상에 대한 검토와 감독의 전작이자 도시 근대화와 물질주의에 대한 비판이 영화적인 방식으로 탐색되었던 영화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1976)과의 교차 읽기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2장에서는 먼저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이 원작 소설인 〈우리들의 넝쿨〉과 비교하여 각색 과정에서 독재 정권 - 개발주의 시대에 대한 대항적 심성으로서 민중주의를 공통적 기반으로 하면서도 상이한 감성을 만들어내고 있음에 주목했다.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에서 원작을 공유하고 있는 지점과 함께 서사적으로 추가되고 ‘보여주기’ 양식으로서 영화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명희-덕배의 서사 및 여성인물 형상화가 계급 적대와 여러 장르 관습 간의 독특한 의미 경계를 형성하고 선명하게 환원되지 않는 해석적 잔여를 남김을 밝혔다. 그리고 3장에서는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이 하층 청년 서사․멜로․민중주의의 화소와 장르적 규범의 차원에서 〈바람불어 좋은 날〉과 공유하는 측면이 있으면서도 가난과 결부된 상품화된 육체․애정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1976년의 시점에서 돌출된 텍스트임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세 텍스트의 결말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바람불어 좋은 날〉이 지니는 비판적 리얼리즘의 위치를 재검토하고자 했다.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의 결말은 원작의 결말을 멜로드라마적으로 변형하며 남성 대리자의 사적 복수와 희생자 여성의 터져 나오는 정동, 여성 노동자와 남성 하위 주체의 결합이라는 민중주의적 전망, 실패하고 계속 맞아도 무언가 될 것이라는 희망의 전언으로 맺어졌다. 검열로 개봉 당시 의미적 연결성이 제대로 전달되었을지 짐작하기 어려운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의 경우, 남아 있는 시나리오와 영상본에서 오히려 후대에 ‘민중적인 것’으로 명명되는 급진적인 미학이 나타나 주목을 요한다. 두 인물은 실패 끝에 발전주의와 물질주의적 삶에 순응하지 않는 자치적 삶을 꿈꾸며 이를 위해 그들이 나고 자란 서민아파트로 돌아오려 한다. 두 주인공의 ‘손상’은 서민아파트로 돌아오기 위한 서사적 처벌로 볼 수 있다.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의 결말은 작품 속 인물들이 어떻게 다른 삶의 방식을 모색하게 되는지에 대한 영화 이미지의 응답을 보여준다. 본고는 이를 통해 감독 이장호에 국한해 보았을 때 비판적 리얼리즘의 시작으로 상정되어 있었던 〈바람불어 좋은 날〉의 위치성을 재고하고, 반체제 정치성과 민중주의가 ‘통속성’과 배리되는 것이 아니라 중층적으로 결합해 있었던 지점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이 통속적 장르의 틀을 차용하면서도 노예화된 삶을 벗어나려는 역동을 형상화하여 오히려 자본과 불화하는 민중을 현시하였다면, 〈바람불어 좋은 날〉의 결말은 민중주의적 전망이 오히려 능력주의적 암시와 응전하는 남성의 서사라는 제한적 통속성과 접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media conversion aspects of the movie 〈A Fine Windy Day〉(1980, directed by Lee Jang-ho) and the original novel 〈Our Vine〉(1979, Choi Il-nam),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e popular and popular through different contemporary media. aimed at clarify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daptation from <Our Vines> to <A Fine Wind Blowing Day> creates different sensibilities even though it has a common base of populism as a reaction against the era of dictatorship-developmentalism.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variation of media and genres and identifying what kind of politics of representation is revealed, I tried to approach the multilayered nature of populism's capacity as a representative anti-establishment discourse at the time. Accordingly,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what was share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from novel to scenario and what was deleted or added at the level of plot was analyzed,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cultural symbol and semantic structure of populism was emphasized was examined. Next,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he manner in which eroticism is written in <A Fine Windy Day> was analyzed, while the overlapping aspects of eroticism, youth melodrama, and class antagonism were re-examined. In the final chapter of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by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scene of the novel and the film, the populism shown in this film was made while sharing the senses of the intellectual-artist group of the time, and the populism that was possible through the cultural form of novel and film. It was revealed that the political horizon of the reality and representation of <Daily> could have been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