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기록된 기우제 관련 자료들을 토대로 고려시대에 거행된 용신 기우제를 통해 기우제에 고려시대의 사상적 특징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전근대 국가에 가뭄은 농업생산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재해였다. 기우제에 龍神은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였다. 용은 水神으로서 구름을 움직여 비를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믿어져왔다. 기우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고려시대는 관련 기록이 부족하여 연구가 더욱 부진하였다. 비록 관련 기록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용신 기우제는 고려시대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의례라 할 수 있다. 용신 기우제는 용의 형상을 만들어 세워두고 기우제를 지내는 像龍, 蜥蜴 등 용을 대신하는 동물을 이용하는 代龍, 물 속에 잠자고 있는 용을 일깨우기 위해 연못 등에 온갖 물건을 투척하는 潛龍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선 태종대에 정비된 기우제에서는 위의 3가지 방법이 모두 거론되지만, 고려시대의 기록에 潛龍 기우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5세기에 편찬된 여러 기록을 종합해보면 고려시대에도 잠룡 기우가 지방사회에서 널리 거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용신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우제에는 유교와 불교, 도교 등이 매우 광범위하게 참여하고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의 사상적 다원성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잘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tual praying for rain to the Dragon Gods that was performed during the Goryeo Age, based on data related to ritual ceremony for rain that were recorded in Goryeosa, Josŏn wangjo sillok, Sinjŭng Tongguk yŏjisŭngnam and the likes, to identify how ritual ceremony for rain reflected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yreo Age. In the pre-modern times, drought was a disaster which would badly affect agricultural crops. Thus, the Dragon Gods used to appear in the ritual praying for rain. Dragons or the Sea Gods were often believed as having the capability to agitate clouds into making rain. A great deal of research about ritual for rain was conducted, mainly focusing on the Joseon Age. There were too few relevant data about this ritual in the Goryeo Age to investigate it. The ritual praying for rain to the Dragon Gods, although scarcely providing the pertained evidential materials, can be considered a ceremony that shows the most obvious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Age. The Dragon God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dragon is Sangryong with the formation of dragon used to perform the ritual for rain. The second dragon is Daeryong such as Seokcheok(lizard) used as the substitute dragons. The third dragon is Jamryong necessary for throwing all kinds of objects into ponds, in order to awaken the dragons. All the three types were proposed in the ritual for rain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of the Joseon Dynasty. Meanwhile, the ritual for rain using Jamryong are not in the Goryeo Age. Considering many record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yet, it can be found that the ritual for rain to Jamryong was also held across the corners in the rural community, throughout the Goryeo Age. The ritual for rain built on the belief of the Dragon Gods is very broadly covered around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others. This plainly shows how ideological pluralism was applied in the Goryeo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