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백석의 시에 나타난 대화체 표현의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일련의 대화체 표현을 작품을 통해 보여주면서 백석의 시는 특유의 어조와 표현에 화법을 더해 화자의 의식과 지향을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백석의 작품들 중에서 특히 「통영」(2)과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그리고 「고향」 등의 작품에 나타나는 대화체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통영」(2)은 작품의 후반부에 ‘여인’을 등장시켜 그 여인과의 대화체 표현을 통해 화자 자신의 소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는 화자가 자신의 소망을 겉으로 드러내면서 동시에 그 소망의 실제 실현이 만만치 않음까지 포괄하기 위해 상상 속에서 대화의 상대방으로 여인을 끌어들여 질문을 던지게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와 나탸샤와 힌당나귀」에서 작품의 후반부에 직접 등장하여 화자에게 이야기하는 ‘나타샤’는 실제로는 화자가 상상 속에서 소환한 인물일 뿐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소주를 마시고 있는 화자에게 나타샤는 행복한 결합을 꿈꾸는 화자의 소망을 증폭시켜주는 말을 건네고 있다. 「고향」에서는 실제로 화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는 ‘의원’을 등장시키고, 그 의원에게서 고향과 아버지와 아버지의 친구를 모두 느끼는 화자의 위안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간접화법의 대화체 표현이 나타난 작품들 중에서 특히 「고향」은 작품 중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다. 「통영」(2)과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는 직접화법의 대화가 작품 중에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향」은 간접화법의 대화가 뚜렷하게 제시되고 있는 작품이다. 직접화법이든 간접화법이든 이 작품들에서는 대화체 표현의 정황이나 양상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화체 표현이 작품의 중심 의미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ekseok's poem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ialogue expressions in his poetry. By showing a series of dialogue expressions in his works, Baekseok's poems succeed in effectively convey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and orientation, directly or indirectly, by adding speech to his unique tone and expression.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alogue expressions in the works of Baekseok, especially 「Tongyeong」(2)(「통영」(2)), 「Na wa natasha wa hin danagi」(「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and 「Gohyang」(「고향」). The poem 「Tongyeong」(2) by Baekseok introduces a passing ‘woman’ in the latter half of the work.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woman, the speaker's own wishes are revealed in a concrete way. This can be seen as the speaker's way of revealing his wishes openly, while at the same time acknowledging the difficulty of their actual realization. In the poem 「Na wa natasha wa hin danagi」, the ‘Natasha’ who appears directly in the latter half of the poem and speaks to the speaker is actually just a character summoned by the speaker in his imagination. To the speaker, who is drinking soju while thinking of his loved one, Natasha delivers words that amplify the speaker's wish to dream of a happy union. The poem 「Gohyang」 by Baekseok introduces a ‘councilman’ who is actually talking to the speaker. The speaker expresses his feelings of comfort in the councilor, who reminds him of his hometown, his father, and his father's friend. Among the works that feature dialogue expressions in indirect speech, 「Gohyang」 in particular plays a certain role in cla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work. Whether in direct or indirect speech,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context and patterns of dialogue in these works. Because dialogu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nveying the central meaning of a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