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K-MOOC 한국문화 강좌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의 인기가 높아지며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한국문화 강좌를 개발하였다. 기존 연구와 온라인 한국문화 강좌의 현황을 분석하여, 중급을 대상으로 한 문화 중심의 언어 통합 교육을 구성하였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흥미와 몰입도를 높이고자 마이크로러닝의 모듈형 학습을 제작하였다.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는 ‘한국어로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에 두었으며, 이를 위해 교수자 및 학습자 요구 조사를 통해 13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각 주제는 독립성과 완결성을 가진 모듈로 제작하였으며, 이는 다시 문화 지식, 문화 실행, 문화 관점 차원에서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세 개의 차시로 나누었다. 15분 내외의 짧은 영상을 통해 문화 상황 이해하기, 문화 주제와 관련한 어휘와 표현 익히기, 배운 내용을 적절하게 활용하기의 학습을 제공한 것이다. 또한 LMS를 통해 과제와 퀴즈를 제공하고, Q&A와 게시판을 통해 쌍방향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수준의 문화 강좌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변화하는 학습 환경 및 요구도를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수준별, 묶음형 문화 강좌 개발 및 관련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MOOC Korean culture course for intermediate learners. With the increased popular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the number of learners who aimed to learn Korean culture also increased. Thus,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Korean culture course for learning it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By analyzing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ulture courses, this study composed the culture-centered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for intermediate learners. Also, this study produced the module-type micro- learning to raise the interest and immersion in online learning. The goal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as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for understanding, experiencing, and communicating Korean culture in Korean language’. For this, total 13 topics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on needs targeting professors and learners. Each topic was produced into module equipped with independence and completion, and it was again divided into three sessions of culture education in the level of cultural knowledge, cultural practice, and cultural perspective. Its short video for about 15 minutes provided the learning like understanding cultural situations, learning about cultural topics and relevant vocabulary/expressions, and properly utilizing the learnt content. It also provided assignments and quizzes through LMS, and bidirectional education through Q&A and bulletin boar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needs targeting the intermediate learners while there are not many intermediate-level cultural education courses.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discussed 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unched courses in each level and relevant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