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historical geography)은 지역의 현재 모습과 더불어 오래된 시간의 지층들을 함께 관심 갖는 소위 시간과 공간이 통합된 지역연구의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일정한 경계에 의해 구분되는 지역을 지칭하는 언어적 표현으로서 ‘지명’ 그리고 지역을 구분 짓는대표적인 공간 영역으로서 ‘행정구역’ 변화에 주목하여 경북 청송군(靑松郡)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청송’이라는 명칭은 󰡔세종실록󰡕에서 처음 그 명칭을 확인할 수 있는데, 1423년(세종 5) 기존 청보군(靑寶郡)과 송생현(松生縣)이 통합되며 ‘청송군(靑松郡)’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자연스레 청보군과 관련된 청부현(靑鳧縣)과 진보현(眞寶縣), 송생현과 관련된 안덕현(安德縣) 등으로 관심이 확장될 수밖에 없다. 이 중에서 특히 1418년(세종 즉위년) 청부현을 중심으로 진보현을 통합하며 승격한 청보군, 1423년의 진보현 분리와 송생현 편입을 통한 청송군으로의 개칭, 1459년(세조 5)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 승격등은 청부현이 다름 아닌 세종의 왕비 소헌왕후 심씨의 내향이었다는 장소적 특이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현재적 입장에서 청송 지역의 장소정체성 구성, 역사문화콘텐츠 확보 및 스토리텔링 등과 관련해 주목해야 할 역사적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청송(靑松)’이라는 명칭과 관련된 행정구역의 통·폐합이나 관할구역의 변천과정을 보면 이 지역이 얼마나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는지 쉽게이해할 수 있다. 즉 1423년(세종 5) 역사상 처음으로 등장한 경상도의 청송군은 현 청송군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북쪽에 진보현, 남서부에 안덕현이 자리 잡고 있었다. 1895년(고종 32) 근대적 행정구역 개편 당시 안동부(安東府) 의 청송군은 북쪽의 진보군 그리고 중간과 남서부를 차지하고 있는 청송군이이원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형태이다. 그러다가 1914년 일제에 의한 통·폐합으로 형성된 경상북도 청송군은 현 청송군의 북쪽 진보면과 파천면 일부에해당하는 지역을 편입하며 현재와 같은 모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향후지역연구와 관련된 주제나 대상 여하를 막론하고 지역을 대표하는 지리적 언표로서 ‘지명’ 그리고 지역을 구분 짓는 공간 영역으로서 ‘행정구역’ 변화에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이 선행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 historical geography on the region can be said to be an approach for regional research that integrates time and space, focusing on the current appearance of the region as well as the strata of older times. In this paper, I take a historical-geographical approach to the Cheongsong-gun region in Gyeongsangbuk-do by focusing on changes in ‘place name’ as a linguistic expression referring to an area divided by a certain boundary and in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presentative spatial area that divides the region. First, the name ‘Cheongsong(靑松)’ can b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1423(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e existing Cheongbo-gun(靑寶郡) and Songsaeng-hyeon(松生縣) were merged and ‘Cheongsong-gun(靑松郡)’ began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Naturally, our interests are bound to expand to Cheongbu-hyeon(靑鳧縣) and Jinbo-hyeon(眞寶縣) which are related to Cheongbo-gun, and Andeok-hyeon(安德 縣) which are related to Songsaeng-hyeon. Among these, in particular, Cheongbo-gun was elevated by integrating Jinbo-hyeon with Cheongbu-hyeon in 1418(the year of King Sejong’s accession to the throne), its name was changed to Cheongsong-gun through the separation of Jinbo-hyeon and incorporation of Songsaeng-hyeon in 1423, and Cheongsong-dohobu(靑松都護府) in 1459(the 5th year of King Sejo's reign). The promotion to Cheongbu-hyeon is deeply related to the locational specificity of Cheongbu-hyeon being the home of none other than King Sejong’s queen, Queen Soheon. From a current standpoint, it can be said to be a historical fact that requires attention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place identity, secur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in the Cheongsong region. Next, if we look at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aboli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transition of jurisdictions related to the name ‘Cheongsong’, we can easily understand how dynamically this region has changed. In other words, Cheongsong-gun in Gyeongsang-do, which first appeared in history in 1423, was centered around the middle part of the current Cheongsong-gun, with Jinbo-hyeon in the north and Andeok-hyeon in the southwest. At the time of the modern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in 1895(the 3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Cheongsong-gun in Andong-bu(安東府) was divided into two parts: Jinbo-gun in the north and Cheongsong-gun in the middle and southwest. Then, in 1914, Cheongsong-gun, Gyeongsangbuk-do, which was formed through merger and amalgamation by the Japanese Imperialism, incorporated the area corresponding to Jinbo-myeon and part of Pacheon-mye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urrent Cheongsong-gun, forming its current form. In the future, regardless of the topic or object related to regional research, I hope that a historical-geographical approach to changes in ‘place names’ as geographical texts representing the reg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as a spatial area that distinguishes regions can take prece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