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기독교와 독립운동은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1919년 3.1운동 당시 기독교가 끼친 영향력이 상당했고 개신교자들의 참여가 많았다는 것은 3.1운동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에 기독교는 빠질 수 없는 관계에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기독교 여성 단체가 조직되었다. 임시정부의 지역적 네트워크가 잘 형성된 평안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감리파 여성과 장로파 여성들이 각자 애국부인회를 결성한 것이 대표적이었다. 이들 애국부인회는 임시정부의 연합 제의에 따라 통합하여 새롭게 대한애국부인회로 확대되었다. 대한애국부인회는 회원 모집과 선전활동 등을 통해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활동하였다. 특히 회원 모집에 열성적이어서 100명이 넘는 규모로 조직을 확대할 수 있었다. 독립운동 자금도 모집하여 임시정부에 송금하기도 했다. 요컨대 대한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은 기독교계 여성들이 개인과 가정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능동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Korean Christianity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are closely relat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hristianity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nd the large participation of Protestants suggest that Christianity was indispensable to the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rough the March 1st Movement. A representative example was that Methodist women and Presbyterian women formed their ow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centered in South Pyongan Province, where the Provisional Government’s regional network was well established. These Patriotic Women’s Associations were merged according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s proposal for union and expanded into the new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worked to support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rough member recruitment and propaganda activities. They were particularly enthusiastic about recruiting members and were able to expand the organization to over 100 members.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also raised and remitt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ort,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the proactive attitude of Christian women who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s and families but actively take part in nation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