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유정 문학어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위해서는 김유정 문학을 배태하고, 김유정 문학이 유통되었던 1930년대 문단의 언어 현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민족어로서의 조선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사정한 조선말 표준어 모음>(1936)이라는 조선어 어문 규범의 정립으로 수렴되었고, 문인들은 이러한 어문 규범 확산의 사도로 호명되었다. 1930년대 대다수의 작가들이 <통일안>(1933)을 자신의 소설쓰기에 적극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과 달리 김유정은 이를 수의적으로 준용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유정 문학어의 이러한 탈규범적 특징은 천재적인 문재(文才) 또는 농촌 친화적 성향의 소산으로 설명되기 어렵다. 김유정 문학어 형성의 배경에는 소설 집필 직전 2년 동안의 야학 활동이 놓여있다. 김유정의 야학 활동은 조선어학회의 이윤재가 집필하고 동아일보사에서 출간한 문자보급 교재를 통해 이루어진 국문 교육 활동이었다. 이러한 어문 교육의 경험이 어문 규범으로 통제되거나 재단될 수 없는 문학의 언어에 대한 감각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통일안>(1933)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지문과 대화에 사투리가 빈번하게 사용된 김유정의 소설은 어문 규범의 준수를 중시하는 1930년대 문단에서는 환영받지 못했었는데 조선어학회와 함께 <통일안>(1933)과 <표준어>(1936) 확대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동아일보』, 『신동아』에 김유정의 소설이 단 한편도 실리지 못하고, 이 사실이 당시 김유정의 동료들에게도 문제시되었다는 사실이 이를 보여준다. 이는 1930년대 어문 규범 운동의 도식성과 엘리트주의적 성격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 홍기문이 편집국을 맡았던, 그리고 <통일안>(1933) 준용에 있어 가장 소극적이었던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김유정의 소설이 당선되고, 이후 『조선일보』와 『조광』에 소설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과 대비를 이룬다. 김유정의 등단 과정과 발표 지면의 분포는 김유정 문학어가 1930년대 매체 환경의 영향 속에서 수용되거나 배제되었던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듯 김유정의 문학어는 조선어 소설 쓰기의 하나의 준거로 여겨졌던 어문 규범에 대한 자각적인 의식과 선택 속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김유정 문학의 해석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Fo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Kim’s literary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nguistic reality of the 1930s literary circles, which gave birth to and circulated Kim Yoo-jung’s literature. In the 1930s, efforts to preserve the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focal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norms in the form of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nd writers were hailed as apostles of the spread of these language norms. Unlike the majority of writers in the 1930s who actively sought to apply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to their novels, Kim Yoo-jung seems to have sought to incorporate it on his own terms. These consistent non-normative features of Kim’s literary language are difficult to explain as a product of genius literary talent or rural-friendly tendencies. The formation of Kim’s literary language lies in his yahak activities during the two years immediately preceding the authorship of his novels. Kim’s yahak endeavors consiste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written by Lee Yoon-jae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published by the Dong-A Ilbo. This experience of language education shaped his sense of the language of literature 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or molded by linguistic and literary norms. Kim’s novels, which did not adhere to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1933) and frequently used dialect in narrative text and dialogue, were not welcomed by the contemporary trend that emphasized an adherence to language norms,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Kim’s and his colleagues’ novels were not published in the Dong-A Ilbo and Shindonga, which were most active in expanding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Regulation>(1936) along with the Korean Language Society. This is in contrast to Kim’s novel being selected for the New Young Writers’ Prize at the Chosun Ilbo, which was the most passive newspaper in implementing the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1933), and whose editorial board was headed by Hong Ki-moon, a critic of the formalism and elitism of the language norms movement in the 1930s. Kim’s novel was subsequently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and Jogwang. The process of Kim’s debut and the distribution of his publications mirrors the ways in which his literary language was embraced or excluded by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1930s. As such, Kim’s literary language can be said to have been shaped by his conscious awareness and choice of the grammatical norms that were considered the norms for writing the Korean novel, and this fact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interpretation of Kim’s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