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강증산의 강림은 타자의 청원으로 스스로 강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환웅의의지는 천상신인 환웅이 스스로 자신의 뜻을 표출하고 이를 아버지 환인이 알게되어 환인의 허락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지만, 강증산의 강림은 인간세상과 신의세상에 문제가 생겨 이를 해결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원시의 신성 불 보살이라는 존재들이 구천(九天)에 있던 강증산에게 하소연하여 시작된 것이다. 단군신화를 원천으로 강증산신화를 보면 고조선의 건국 이후 질서가 무너진 세상을구해야하는 일이 발생하였고, 이를 위해 신의 지상강림이 필요하게 됨을 보게된다. 단군신화는 환웅, 단군만이 아니라 환인이 등장하는 서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보면 구천에 있었던 강증산은 천상 환인의 모티프에 대응되고 있다. 혼란한 세상에 이상세계를 꿈꾸던 대중들이 환인을 생각하고 그의 구원을 바라던 소망이 응결되어 강증산 강림신화를 형성시키게 된 것이다. 먼저환웅의 강림이 있었으나 천하가 혼란해지자 민중들은 과거 환웅에게 신물(神物)을 주어 천하를 다스리게 했던 환인을 대망(待望)하게 되었고 이러한 대망이 강증산 강림신화의 원천으로 맞닿아 있는 것이다. 강증산의 강림은 인계에 강림하기 전에 천상에 있으면서 인간세상과 연계되는 큰 법의 나라에 하늘이 열리는탑에 천계(天界)를 떠나기 전에 최종적으로 머물렀음을 볼 수 있다.또 인간계에서 미륵불은 석가불 다음의 당래불로서 미완의 현실세계를 새로운 이상세계로만든다는 상징성을 갖고 있으며 미륵불은 불교적 의미로 해석되는 면과 함께 솥위에 봉안되어 있다는 점에서 강증산에 대한 신이한 해석이 파생되기도 한다. 한편 강증산은 신으로서 수운에게 계시(啓示)로 능력을 직접 주었고 수운은1860년 동학(東學)이라는 종교를 창시하게 된다. 그러나 수운의 활동은 그의죽음과 함께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수운의 행적은 신으로서 미륵불에임한 강증산의 선택에 의한 것이었다. 강증산은 종도(從徒)들에게 사후에 구천에 회귀(回歸)하고 이상세계가 이루어지면 출세(出世)한다고 하였는데, 강증산도 신으로서의 성격은 다르나 단군처럼 신앙적 경배를 받는 존재로 화한 것이다. 강증산은 생시에 천지공사라는 행적을 하였는데 그 기간 안에 세상의 문제가 해결되고 유토피아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는 자기 뒤에 계승자가 있어 그의 일을 계속 이루어 나간다고 하였다. 즉 강증산의 강림 목적은 개벽 및후천이라는 신화적 성격의 이상향을 내포한 중층구조의 다중적 의미인 천지공사를 통해 미래에 이룩되는 구조이다.


The narrative of the Advent of Kangjeungsan delineates a processwherein the deity arrives autonomously, prompted by the pleas ofothers.Hwanwoong’s will was established with Hwan-in’s consent, asthe celestial deity expressed his intention and his father, Hwan-in,became aware of it. Conversely, Kang Jeung-san’s advent began whenprimitive divine Buddhas approached him in an extreme situationwhere problems in both the human world and divine world could notbe solved. An examination of the Kangjeungsan myth, based on theDangun myth, reveals a post-establishment of Gojoseon necessity tosave a world in disarray, prompting the need for the earthly Advent ofGod. The Dangun myths not only involves Hwanwoong and Dangunbut also incorporates narratives featuring Hwanin. In this regard,Kangjeungsan in Gucheon corresponds to the motif of a heavenlyhealer. In a chaotic world, Korean commoners, dreaming of an ideal world,thought of fantasy and hoped for salvation, giving rise to theKangjeungsan Advent myth. Initially marked by Hwanwoong’s Advent,the narrative evolved as the world descended into chaos, with peopleyearning for Hwan-in—the one who granted Hwanwoong the mandateto rule the world in the past (待望). This eagerly anticipated arrival forms the foundation of the Kangjeungsan Advent myth. It can be seen that the Advent of Kangjeungsan unfolded in heavenbefore the invasion of Ingye. Ultimately, it settled in the tower wherethe heavens opened, connecting the heavenly and human worlds withinthe expansive country of great law. Maitreya Buddha comes tosymbolize the unfinished real world, projecting a new ideal world asthe next Dharma Buddha in the human world. This symbolism isenshrined in a pot alongside its Buddhist significance, paving the wayfor a divine interpretation of Kangjeungsan. In contrast, Kang Jeung-san, as a god, directly gave Suwoon(水雲) hecapacity for revelation. In 1860, Suun founded the Donghak religion. However, Su-woon’s activities failed with his death. The deeds ofthese Suwoon(水雲) were linked to Kangjeungsan, who was associatedwith the Maitreya Buddha as a god. Upon Suwoon’s death, Kangjeungsan reincarnated as a humanbeingin Maitreya Buddha and performed his own salvation. Suwoon’sDonghak Changdo finds correspondence in the founding of Dangun, towhich Hwanwoong gave birth during his honeymoon with Woongnyeo.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Dangun passed away andbecame an object of worship as a mountain god. Kangjeungsan conveyed to his followers (回歸) that after his passing,he returned to Gucheon after death and rose to a realm when the idealworld had been achieved. In a manner reminiscent of Dangun,Kangjeungsan became a revered figure in religious worship, althoughhis character as a god was different. At birth, Kangjeungsan performed the deeds of Heaven and Earth,yet during that period, the world’s problems were solved and utopiawas not achieved. He asserted that he had an heir to carry on his legacy, ensuring the onging fulfillment of his mission. In other words,the purpose of Kangjeungsan’s Advent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amulti-layered structure—comprising the ideals of the mythical character,involving the construction of heaven and earth—to be realized in thefuture through a process of construction and attai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