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조선시대 군사사 연구의 연대기적 양상과 성격을 정리하면서, 학계의 성과와 동향을 바탕으로 연구의 향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20세기의 연구 경향이 21세기로 계승되고 있는 시계열적 양상과 성격을 요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진해야 할 연구 경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조선 왕조는 도학적 정치 구조를 지향하며, 시장 경제를 정부가 주도하여 공적 재분배의 틀에서 양성하고자 하였던 문치 지향의 국가라고 판단된다. 거대 규모의 정부를 구성하여 낭비성 행정과 전시성 군사력을 양산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국가 체제였다. 그렇지만 왕조 국가의 공식 행사와 재난 극복의 지출 비용을 궁색하게 하지 않았다. 유학적 지식으로 무장한 관료제 기구의 영속적 성격을 십분 발휘하였던 왕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왕조의 국정 운영 경향을 이해하는 바탕에서 군사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동시에 군사사를 하나의 주제와 개념의 정합성을 위해서만 활용하는 시각에 국한시키지 않고, 왕조 통치의 플랫폼 성격을 軍事의 제양상에서 파악하려는 연구의 지평을 지향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chronologic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history research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explain th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achievements and trends in academia. The Joseon Dynasty is believed to be a bureaucrat-centered country that pursues a moralistic political structure and fosters a market economy through a public redistribution structure led by the government. It was a national system in which it was impossible to form a large-scale government and mass-produce wasteful administration and wartime military power. However, this did not make it difficult to spend money on official national events and overcoming disasters. It can be said to be a dynasty that fully demonstrated the enduring nature of the bureaucratic apparatus. Therefore, military histor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understanding the Joseon Dynasty’s state administration tendencies. At the same time, it is believed that w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erspective of using military history for the consistency of a single topic and concept, but should aim for a horizon of research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platform nature of dynasty rule in the context of military aff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