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대계몽기 전후 국가와 어려 단체는 한문체와 국한문체 등과 같은 표기법을 활용하여, 애국계몽과 근대적 신지식을 담은 다양한 형태의 공적 기록물을 간행하고 배포하였다. 이들 기록물은 근대 인쇄기술과 매체를 통해 인쇄물의 형태로 널리 판매하거나 유통되었다. 인쇄 매체로 간행된 문헌 중에는 국한문체와 한문체 서적이 다수였다. 官報를 비롯하여 교과서와 신문, 잡지 등을 구체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그간 한문 고전번역의 영역에서 다루지 않은 근대계몽기 전후에 간행된 이러한 한문 관련 자료를 모두 조사ㆍ정리한 다음, 한문 고전번역 대상과 범주로 수용해야 한다. 그리고 이 시기 간행된 기록물의 질적 내용과 그 양상을 고려하면, 일부 국한문체 기록도 한문 고전번역의 대상으로 삼이야 한다. 구체적으로 근대계몽의 내용을 잘 담고 있는 국가 간행의 官報, 공공의 성격을 지닌 교육기관의 교과서, 그리고 공적 영역과 근대 매체의 성격을 보여주는 신문과 잡지가 그러한 번역의 대상이다. 만약 가능하다면 국가 기관과 대학의 연구 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근대계몽기 한문ㆍ국한문 자료 총간󰡕(가칭)의 기획과 함께 이후 번역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In the epochs preceding and following the Modern Enlightenment, a plethora of public records emerged as manifestations of patriotic enlightenment and the dissemination of contemporary knowledge. These records were meticulously crafted utilizing diverse notations, including the Korean script and local writing systems. The proliferation of such records occurred through the advent of modern printing technology, leading to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via printed materials. Noteworthy among the literary works disseminated through print media were publications in both the Korean script and Chinese characters. Instances include GwanBo (官報), educational textbooks, newspapers, and magazines. It is imperative, therefore, to embark on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categorization of materials disseminated before and after the Modern Enlightenment. The examination should ascertain the viability of these materials as potential subjects for classical Korean translation. Given the substantial volume of Korean records from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coupled with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translation targets, the inclusion of materials in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combined with Chinese characters warrants attention. Specifically, focus should be directed towards state-published official reports, publicly-oriented institutional textbooks, and media outlets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serve as reflections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a. Furthermore, there is merit in conceptualizing and devising a comprehensive anthology tentatively titled "Colle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This envisioned collection aims to encapsulate the linguistic and thematic nuances prevalent in materials from this transformative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