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지역문학의 관점에서 向破 李周洪(1906~1987)의 번역 작업이 갖는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향파는 樂山 金廷漢(1908~1996)과 함께 부산문단의 형성에서 주요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소설가로서 거의 한 우물만 팠던 요산과 달리 향파는 아동문학을 비롯하여 시, 소설, 희곡, 시나리오, 수필, 번역, 만문만화 등의 작가뿐만 아니라 연극 연출가, 잡지 편집자, 삽화가, 서예가, 작사가 등에 이르기까지 문예 전반에 걸쳐 활동했다. 향파는 1947년 무렵에 사회주의 조직과 완전히 절연한 전향자가 되어 부산으로 이주, 남은 생을 부산에서 지냈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직후 부산문단의 재건기에 향파가 소설가로서 자기 운명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한 각오를 새롭게 다질 무렵에 중국 고전문학 번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실에 주목했다. 요컨대, 이 글은 향파 연구사의 공백 중 하나인 번역사의 관점에서 향파를 주목했다. 아울러 지역문학사 차원에서는 향토성․지방성에 근간한 지역성을 분석하기보다는 지역문학사 연구에서 좀처럼 다뤄지지 않는 사안, 곧 지역작가가 문학적 보편성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기존 연구사에 기여하는 이 글의 의의는 그 두 지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the translation work of Hyangpa Lee Joo-hong(向破 李周洪, 1906~1987)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literature. Hyangpa, along with Yosan Kim Jeong-han(樂山 金廷漢, 1908~1996), is well known as a writer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founding of the Busan literary world. Unlike Yosan, who only dug a single well as a novelist, Hyangpa is not only a writer of children's literature, poetry, novels, plays, screenplays, essays, translations, and comics, but also a theater director, magazine editor, illustrator, calligrapher, and lyricist. He was active in all areas of literature. Around 1947, Hyangpa became a convert who completely broke away from socialist organizations and moved to Busan, where he remained for the rest of his life.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fact that during the founding period of the Busan literary world after the Korean War, Hyangpa accepted his destiny as a novelist and renewed his resolve to begin translating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earnest. In short, this article focuses on Hyangpa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nslator, which is one of the gaps in the history of Hyangpa research. In addition, at the level of local literary history, rather than analyzing local characteristics, I focused on issues that are rarely addressed in local literary history research. In other words, I was interested in how local writers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literary univers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which contributes to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can be found in these two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