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예체능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예체능 실기교육의 영상 콘텐츠와 플랫폼 설계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온라인 예체능 교육 콘텐츠의 분류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시한 영역 분류를 활용하였고,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YouTube와 Class101을 선정하였다. 두 학습 플랫폼에서 영역별로 학습 참여율이 10% 이상인 여섯 개 장르 즉, 사진, 미술, 공예, 음악, 체육, 융복합 영역에서 조회수가 높은 한 강좌씩을 선정하였다. 강좌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교수설계, 영상설계, 플랫폼 설계의 세 영역과 각 영역의 하위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개 장르는 시범 교수방법을 활용하였고 추가학습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화면은 교수 도구와 교수자 손으로 구성되었고 교수자 음성은 상시 제공하고 있었다. 시범 자세는 1인칭으로 제시하면서 근접촬영 기법을 활용해 중요한 내용이 부각되도록 하였다. 플랫폼은 로그인 방법이 유연하고 제목과 썸네일에 학습내용이 직관적으로 설계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온라인 예체능 실기교육에 적합한 교수방법 및 교수전략, 화면 설계, 유연한 플랫폼 제공이 설계 전략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계 전략이 포함된 영상 콘텐츠의 학습효과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video content and platform design strategies to promote online practical train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For classification, YouTube and Class 101,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as online learning platforms, were selected using the area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n the two platforms, each course with a high number of views was selected from six genres: photography, art, craft, music, physical education and convergence with a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more than 10%. For analysis, sub-analysis criteria were set in the areas of teaching design, video design, and platform design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a result, all genres used test teaching methods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e screen consisted of teaching tools and the hands of the professor, and the professor's voice was always provided. The demonstration posture was presented in the first person and important contents were highlighted by using close-up photography techniques. The platform had flexible logins and intuitive titles and thumbnail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methods, screen design, and flexible platform provision suitable for online practical train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are desig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