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계축일기」의 종결을 세 가지 영역–서사·질문·실물 영역에서 분석하고 종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갈등이나 문제를 충분히 해소했는지, 텍스트 읽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문들에 답을 찾았는지, 물질적 텍스트가 완결되었는지에 등에 대해 답할 때, 우리는 읽기가 ‘종결’되었다고 말한다. 각 영역의 종결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적으로 독자가 도출하는 텍스트의 총체적 의미를구성하는 의미 요소들로 기능하는 것이다. 「계축일기」의 다른 판본인 「서궁일기」의 종결에는 다른 내용이 덧붙어 있다. 두 판본의 실물적인 종결은 갈등에 대한 해석에 영향을 끼쳐 텍스트의 서사적 결말의 차이를 도출할 수 있고, 주제적 국면에 대한 독자의 총체적 판단을 변형할 수도 있다. 「계축일기」들의 종결을 (1)텍스트가 고난에서 벗어나기를 억울함을 알아주기를 원하는 종결, (2)텍스트 속 악인들에게 구체적인 징벌을 내리는종결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장르 인식과 같은 텍스트의 특성에 대한 독자의이해도 다른 종결을 도출할 수 있다. 「계축일기」와 「서궁일기」의 종결의 차이를덧붙음 혹은 삭제로 보는 입장의 경우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종결을 선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결을 도출하고 선택한다는 것은 텍스트를 읽는 독자가 종결을 결정한다는것이다. 종결들은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는 요소로 개별적 혹은 상호 협력 관계를 지니며, 특정 독자들의 특정 종결은 텍스트 구성요소들 간 의미작용의 결과물인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Gyechuk-Ilgi(「계축일기」) are analyzed across three domains: the narrative, the questioning, and the text. We say that reading is ‘concluded’ when we have sufficiently resolved major conflicts or issues, found answers to ques-tions that may arise during the text reading, and ensured that the material text has come to a close. Conclusions in each area function as elements of meaning that individually or interactively constitute the holistic significance derived by the reader from the text. The conclusion of Seogung-Ilgi, another edition of Gyechuk-Ilgi, contains additional content compared to the original version. The tangible conclusions of these two editions can influence the interpretation of conflicts, resulting in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outcomes of the texts. This, in turn, may transform the reader’s holistic judgment on the thematic junctures. The conclusions of Gyechuk-Ilgis can be categorized into (1)a conclusion that desires the text to escape from adversity and seeks acknowledgment of injustice, and (2)a conclusion that imposes specific punishments on the villains within the text.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such as genre, can contribute to the derivation of conclusions. Perceiving the differences in the conclusions of Gyechuk-Ilgi and Seogung-Ilgi as additions or deletions reflects a perspective that considers the choice of conclusion based on the editor’s intent. To choose a conclusion means that the reader, engaged in reading the text, determines the conclusion. Conclusions serve as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meaning of the text, either individually or in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Specific conclusions by certain readers are the products of the semantic interaction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