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그간 해방을 기준으로 단절된 존재처럼 인지되어 왔던 경성제국대학 출신 1세대와 2세대 연구자들에 대한 세대론을 재고하고자 한다. 1세대 연구자들은 김태준, 조윤제, 김재철, 이희승 등 조선어문학회를 결성했던 연구자들이다. 2세대는 1948년 우리어문학회를 결성한 연구자들로 방종현, 구자균, 고정옥 등이 주축이다. 1세대의 재학기 경성제국대학 조선문학 전공에서는 思想 관련 강의가 행해졌다. 1세대가 졸업하고 2세대의 재학기 조선문학에 대한 강의가 시작되었으나 대부분은 한문학이었다. 뒤늦게야 커리큘럼에 민요가 포함되었고, 이는 김사엽, 고정옥 등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경성제국대학 출신 조선인 연구자들은 대학 외부의 민간학술사회와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학술을 연마해나갔다. 본고는 특히 식민지시기 2세대 연구자들의 활동과 교류 양상을 다수 확인하였다. 해방 후 간행된 우리어문학회의 저작은 국문학 범주에서 漢文學을 배제하고, 문학의 口演性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녔다. 그것은 딱딱한 언어 민족주의의 제약을 받아들이면서 文學史上 한문학의 공백을 채워보고자 하는 궁여지책의 결과물이었다. 그들의 국문학은 한문학을 배제하고자 했지만, 한문학에 반복되어 붙은 배제의 꼬리표는 역설적으로 국문학을 자기완성적인 존재로 만드는 것을 방해했다. 구연성은 국문학과 국어의 결합을 목표로 한 것으로, 해방 이후 국민의 창출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는 것이었다. 한편, 우리어문학회의 한문학 배제와 구연성에 대한 집착은 학문분야에서 탈식민(decolonization) 과제의 수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을 암시한다.


This paper seeks to reconsider the generational theory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have been perceived as being separated based on liberation.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were researchers who formed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AKL, 朝鮮語文學會), Kim Tae-joon, Jo Yoon-je, Kim Jae-cheol, and Lee Hee-seung. The second generation is a group of researchers who formed the Association of Our Literature and Language[AOL, 우리語文學會] in 1948 and is led by Bang Jong-hyeon, Koo Ja-gyun, and Go Jeong-ok.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took lectures on Confucian thought during their semeste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It was not until the second generation that lectures on Korean literature began, but the main focus was on Sinographic literature. Afterwards, folk songs we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Kim Sa-yeop, Ko Jeong-ok, and others. Korean researchers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honed their academic skills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private academic societies outside the university. This paper specifically uncovered the activities and exchanges of second-generation researchers through various materials. The works of the AOL published after liberation had the characteristic of excluding Sinographic literature from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and emphasizing the ‘oral nature’ of literature. In addition to rigid language nationalism, it was also the logic of a desperate measure to fill the void in Sinographic literature. The AOL's policy of emphasizing Korean-language-written literature was, paradoxically, to revive the literary theory of Toru Takahashi, a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