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타자의 고통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는 언제나 조심스럽게, 그러나 어느 때고 문학의 본령이 타자의 고통을 분유하는 것이라는 점을 전제한 채로 그 당위성을 인정받아 왔다. 1923년 일본에서 일어난 관동대진재와 이 때 학살되었던 조선인들의 문제 또한 아직 그 고통이 충분히 말해지지 못한 것으로서 문학의 재현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이 사건은 식민지 조선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이후에도 본격적으로 말해진 바가 그다지 많지 않았던 점을 고려한다면, 왜 이 사건은 문학적 재현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지, 거꾸로는 이미 재난의 현장이 수습된 상황에서 이 사건이 다시금 문학으로 소환된 이유는 무엇인지를 질문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대어 이 글은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 문인의 글에서 관동대진재가 나타난 작품을 일별하고 그 중 다섯 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그 특징과 차이점을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관동대진재가 처음으로 묘사된 소설은 최정희의 「비탈길」(1949)이며, 이후 이기영의 『두만강』, 유주현의 『조선총독부』,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아리랑』 등에서 이 사건이 재현되었다. 작품의 성격과 발표 시기, 작가의 직접 체험 여부에 따라 각 작품은 재현의 구체성 정도와 의미화 방식이 각기 달랐다. 그러나 대부분 공통적으로 조선인이 다수 희생된 주요 지역에 대한 묘사가 이루어졌으며, 회수되지 않는 선의라는 호혜의 비대칭 관계를 묘사함으로써 조선인의 재난 취약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작가가 직접 관동대진재를 체험한 경우 그렇지 않은 작가들보다 구체적인 장소성을 생생한 감각으로 소설에 재현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해 재난으로부터 시간적, 심리적 거리를 두고 객관적 관찰이 가능해진 때의 소설에서는 재난에서 개인을 살아남을 수 있게 했던 다양하게 분할되고 교차된 정체성들을 보다 섬세하게 독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재난을 사후적으로 재현하는 행위가 여전히 유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소설에서 관동대진재라는 사건성은 작가 개인의 (무)의식적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배치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최정희와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list the works that appeared in the Kanto Great Earthquake in the writings of Korean writers from after liberation to the 1990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five novels. After liberation, the Great Kanto Earthquake was reproduced in the novels of Choi Jeong-hee, Lee Ki-young, Yu Ju-hyun, Park Kyung-ri, and Jo Jung-ra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the timing of the presentation, and the artist's direct experience, each work had different degrees of concreteness and semanticization. However, most commonly, descriptions of major areas where many Koreans were sacrificed were made, and by describing the asymmetric relationship of reciprocity of good faith that was not recovered, it emphasized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people who had to experience as Koreans. When the author experienced the Great Kanto Earthquake him/herself, he/she reproduced a specific place in the novel with a vivid sense than those who did not. However, in the novel when objective observation became possible with a tempo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disaster over time, it was possible to more delicately read the various divided and intersecting identities that existed on the scene in the disaster. This suggests that the act of recreating the disaster after the fact can still b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novels, the Kanto Great Earthquake is sometimes arranged to realize the author's individual (unconscious) desire.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is through the novels of Choi Jeong-hee and Lee K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