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훈련도감자본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奎 7850)을 실사하면서 국어학적인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은 아직 초간본(1525년)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은 초간본의 국어를 담고 있지만 드물지 않게 근대국어의 모습도 담고 있어서 당시 과도기 국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이 초간본으로 추정되었으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학계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대 소장본에서 추정의 근거로 삼은 서문이 원간본의 서문을 그대로 복각한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책의 속표지에 기록된 내사기(內賜記)를 통해서 1578년의 을해자 중간본임을 알 수 있다. 훈련도감자본인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奎 7850)은 임진왜란 이후 감염병이 재차 유행하면서 1613년(광해군 5)에 다시 간행하였다. 이 책은 정교하게 교정된 글자를 담은 교정본 의서이다. 이 책에 드러난 표기의 특징으로 ‘ㅿ’과 ‘ㅇ’의 쓰임 혼용, 옛이응(ㆁ)과 이응(ㅇ)의 표기 공존 등으로 과도기 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다. 표기에 오자가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음운현상과 관련된 특징으로는 우선 자음동화가 반영된 사례가 눈에 띈다. 비원순모음이 전후 음절의 원순모음에 이끌려 원순모음으로 동화된 예도 수의적으로 나타난다.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도 자주 보인다. 동국정운식 한자음이 반영된 한자도 함께 보인다. 이 책에는 한자어계 조사로 이해할 수 있는 ‘至히’가 보여 흥미롭다. 주어적 속격의 용법을 보이는 ‘ㅅ’이 확인되고 나열의 의미 기능으로 파악된 ‘-(이)야 -(이)야’가 주목된다. 강조나 한정의 기능을 하는 보조사도 눈에 띈다. ‘ᄒᆞ라체’의 명령형 어미가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책에서 흥미로운 유의 관계와 다의 관계도 찾을 수 있다. 눈에 띄는 동음이의어 변화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도 등장한다. 금기어와 완곡어도 확인된다. 한편 오늘날 쓰이지 않는 사어나 희귀어도 곧잘 보이고, 특히 ‘쉰무ᅀᅮ나박팀ᄎᆡᆺ국’는 기존 해석을 정정하였다. 또 단위 명사에 따른 수사의 변이 양상도 잘 드러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ncient document Kani- byeokonbang (簡易辟瘟方) (奎 7850) housed in Gyujanggak (奎章閣). The document’s first printed version has not been transmitted yet. Kani-byeokonbang contains not only the 16th-century Korean language but also the 17th-century Korean langu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vividly observe the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of the time from the document. In the past, the first publication date of Kani-byeokonbang in the Korea University’s Central Library and the others were estimated to be 1525, but this turned out to be untrue. The preface of the document in the Korea University, which was used as a basis for the publishment date estimation, turned out to be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version’s preface. The Naesagi(內賜記) recorded inside of the document reveals that the document is the intermediate version of Eulhaeja (乙亥字) in 1578. Infectious diseases were spread after the Imjin War, and KanI-byeokonbang (奎 7850), one of the HullyeonDogam-Ja (訓鍊都監字) documents, began being republished in 1613. This version is the revised edition that includes precisely proofread words. This document i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and reflects the 16th century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One characteristic of writing in the document is the mixed usage of “ㅿ” and “ㅇ.” Another characteristic is the coexistence of “ㆁ” and “ㅇ” writing, and these characteristics show transitional Korean language. Writings in the document reflect misspelled words. A characteristic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on stands out through a case where consonant assimilation is reflected. Another case shows the non-rounded vowel being assimilated into the rounded vowel, attracted by the rounded vowel of syllables before and after. Writings that reflect the weakening of “ㄱ(k)” are often observed in the document. The Chinese charac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s of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style can be seen in the document as well. In the document, “至” appears as an example that can be understood as the post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Furthermore, “ㅅ,” which shows the use of a genitive subject, is identified, and the postpositions that have a semantic function of listing are observed in the document. A complementary postposition, whose function is to emphasize or to limit, also appears. The imperative ending of “ᄒᆞ라체 (Hara-style)” is observed in various forms. Interesting synonymy and polysemy relations are seen in the document. There is a case showing a noticeable change in homonymy. Taboo words and euphemisms can be noticed as well. Words that are obsolete or dead nowadays are easily found. Additionally, the variation of a numeral according to unit nouns is well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