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2016년 사드(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으로부터는 2019 년에 대법원 일제 강제 노역 배상 결정 인용에 대한 보복으로 경제제재에 직면한다. 정상적인교류와 협력을 이어가던 두 이웃 국가로부터 연속적인 경제제재를 받은 것이다. 하지만 두 개의 경제제재에 대한 한국 정부-특히 문재인 정부-의 대응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전자의 경우 공식적 항의 이외에는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제재 극복 노력이 부재했던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강력한 항의와 함께 즉각적인 보복 조치와 정부 주도의 민관 합동 노력을 통한 공세적인 제재 무력화 노력이 진행되었다. 두 경제제재에 대한 한국 정부의이러한 상이한 대응의 원인은 무엇인가? 본 논문은 이에 답하기 위해 피제재국이 제재 이전에제재국에 대해 형성하고 있던 기회/제약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만약 피제재국이 제재 이전 전략적 상호작용의 결과 제재국을 기회로 바라보고 있다면 제재 대응에 소극적으로나서는 반면 제약으로 바라보고 있다면 대응에 매우 공세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주장을 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2017~2020 한국의 대중・대일 경제제재 대응 사례연구를 통해 입증하고 일련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South Korea encountered two different economic sanctions from China and Japan partially because of a conflict of THAAD deployment and partially because of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to cite Japan’s illegal activity of forced labor during its colonial rul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anctions surprised Korean leaders and public because they came from the two countries with which Korea has maintained normal and amicable relationships for decades. What is more interesting is that Korea has responded to the sanctions in very different ways. Regarding China’s sanction, Korean leaders just issued a series of complaints devoid of any government’s countersanction efforts while making prompt and even aggressive efforts to neutralize negative effects Japan’s sanction might incur to Korean economy. To explain the variation in Korea’s response to the sanctions, the paper proposes an argument that sanctionreceived countries’ response to sanction-senders varies with their opportunity/constraint perception on the senders if they maintain normal and amicable relationships. The opportunity perception prompts the receivers’ passive and even delayed response to the sanction while the constraint perception leads to their agile and aggressive response. This argument is tested against a crucial case-i.e., Korea’s responses to the economic sanctions from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The evidence from the case studies lends a strong support for the opportunity/threat perception argument. The paper concludes by offering a short summary and policy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