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안변군 지지조서」(1916~1917)의 서지사항과 수록된 지명 유산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 안변군의 역사지리적인 위치 특성을 제시하고 지지조서의 구성과 내용, 지명 자료들의 표기 특성을 시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안변군은 내부적으로 산지와 하천, 바다와 접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고유어 지명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동시에 외부로는 추가령구조곡의 골짜기를 통해 한강 유역의 정치적 중심지와 연결되면서 삼국시대 이래로 외부 정치 세력들이 명명한 한자어 지명들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지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일본인이 주도하여 작성된 이 문서에는 당시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지명 자료들이 기록되어 있다. 연구 결과, 지지조서의 작성 목적과 관련하여 이 문서가 제3차 지형도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 단서를 확인하였다. 또한 안변군 7개 면에 분포하고 있는 한자 및 한글로 표기된 동리명과 구동리명 및 부락명, 그리고 도로․산천․명승 지명들을 통해 20세기 초반 한글 표기 지명의 언어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후부 및 전부 지명소로 구분하여 지명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유형의 훈차 표기, 음차 표기, 훈독말음첨기(받쳐적기법)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자 표기 지명을 한글로 표기하면서 훈독보다는 음독 표기하는 경향과 함께 후부 지명소가 지명 유형별로 특정한 한자로 통일되어 표기되는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히 현재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지리 용어들이 도로․산천․명승 지명에 기록된 일본식 명칭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preliminarily analyze the bibliographic items and the toponymic heritage written on Anbyeon-gun JiJijoseo (安邊郡 地誌調書) (1916-1917), on which it is suggested what are the historio-geographical location of Anbyeon-gun, Hamgyeongnam-do Province, the component contents, and the notation characteristic of toponymic data in this official document. It has various types of Korean toponyms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hile they have been coexisting with Chinese toponyms which naming and renaming by the external political force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 Accordingly, some of these toponymic data include political influence, reflect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when the document was created by Japanese clerks worked at Meon (面) office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I identified that they have formed a detaile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nym’s site and location for the specific purpose of drawing the 3rd Topographic Map (1918-1921)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particular, it is examin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notation on the village and hamlet names, the street, mountain and river, scenic spot names written in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After analyzing the anterior and posterior morpheme of a toponym, not only various notation types, for example, transcription by meaning and sound, suffix addition of semantic reading are discovered in it, but also I identify some tendencies of the sound-reading rather than meaning-reading of toponym,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posterior morpheme of a toponym by the given Chines character. Particularly, I also raise the potential which some of current-familiar geographical terminology had been originating from the Japanese terms recorded on this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