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사제 양성에 있어서 영적 세속성으로 거론되는 나르시시즘 성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나르시시즘을 가진 신학생들을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과도한 주목이나 찬사를 받으려는 나르시시즘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나르시시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나르시시즘은 자신에 대한 웅대한 자기상과 평가에 대한 과도한 예민성, 공감의 결여로 요약/정리할 수 있다. 나르시시즘은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 취약한 자아 존중감, 오직 최고가 되고자 하며, 실패를 부정하는 모습, 특권 의식, 거만하고 사람을 무시하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이와 함께 수치심, 분노, 적대감, 시기와 질투의 감정이 동반된다. 이렇게 건강하지 못한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사제는 자기중심적인 성직주의에 빠져 대인 관계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야기하고, 그 결과 사제로서의 리더십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초기 양성 과정 안에서 극복하기 위해 그 방안들을 인성, 영성, 지성, 사목 양성이라는 네 가지 양성의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인성과 영성 양성에서는 자기 인식과 자기 반성적인 성찰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고는 공동체 생활을 통한 건강한 자아 존중감의 확장, 신앙 감각을 통한 공감 능력 증진, 양성자의 영성 지도 방법론 개발, 지성 양성에서는 심리학과 같은 인간학 과목에 대한 접근, 사목 양성에서는 건강한 피드백을 통한 사목 실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제 양성은 지극히 거룩하신 성삼위께서 하시는 일이기에 지금까지 살펴본 심리학적인 방법은 보조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arcissism, which is mentioned as spiritual worldliness in priestly formation. It seeks to find a way to help seminarians with narcissism by approaching it psychologically.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narcissism in terms of seeking excessive and deep attention or prai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arcissism was described. To summarize, narcissism can be characterized as a grandiose self-image, hypersensitivity to evaluation and lack of empathy. The narcissism manifests itself as a pervasive pattern of grandiosity, vulnerable self-esteem, a desire to be the best, avoiding or denying failures, a sense of entitlement, arrogance and disregard for others, along with feelings of shame, anger, hostility, envy and jealousy. Priests with unhealthy narcissism fall into clerical narcissism,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even leadership as a priest can be threaten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in the initial formation process, methods we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across the four dimensions of formation: human, spiritual, intellectual and pastoral formation. Self-recognition and self-reflection should be essential in human and spiritual formation, and it was proposed to expand healthy self-esteem through community life, enhance empathy through a ‘sensus fidei’ and develop a spiritual guidance methodology for formators. Regarding the intellectual formation dimension, an approach to anthropology subjects such as psychology was suggested and in the case of pastoral formation, a plan for pastoral practice(apostolic experiences) through healthy feedback was presented. Finally, since the principal agent of priestly formation is the Most Holy Trinity, it was emphasized that the psychological method examined so far should be used as a supp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