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말샘』에 실린 강원 방언 혼종어의 조어적 특징을살펴보는 데 있다. 본고는 현재까지 많이 다루지 않았던 방언형을 중심으로그들이 외부와 내부의 결합 방식을 살피고 지역적 특성 및 표준 어형과의 차이를 검토한다는 점, 명확한 수치와 어휘를 제시하는 방언형 혼종어에 대한연구가 최초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논의 결과 강원 방언 혼종어는 외부적으로 다양한 어종끼리의 결합 양상을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징적인 점으로, ‘고유어’와 ‘한자어’의 결합이 가장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한자어+고유어’의 조합이 56.8%로 1위를차지하였다. 한자어가 아닌 일본 외래어가 고유어와 결합한 방언형이 등재되어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다음으로 혼종어를 ‘혼종 합성어’와 ‘혼종 파생어’로나누고 각 유형별로 혼종어의 품사 양상을 제시하였다. 혼종 합성어는 대부분명사끼리의 결합으로 합성명사를 생성하며, 혼종 파생어의 경우는 명사 어근과 명사파생접사의 결합으로 파생명사를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 지역 방언형 혼종어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지만, 전체 지역어의 양상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들 간 비교를 통해 강원 방언 혼종어의 지역적 특성을 확인할 수있었다. 특히, 혼종어의 지역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혼종어의 지역 정보와 내부구성 요소의 방언형 비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방언형 혼종어의 결합 방식을 내・외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지역어 연구 및 조어법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지역어의 형태론적특성을 객관화하고 지역어 연구에 작은 결과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본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어 연구를 심화할 것임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 Kangwon Region’s hybrid words, as documented in the ‘Urimalsaem’, a comprehensive Korean dictionary. Previous studies on hybrid languages mainly focus on standard word forms.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external and internal combination patter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ms of hybrid words, and examines their differences from standard words.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he first study which provides clearer numerical data and sample sentences about dialectal hybrid word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t can be confirmed the hybrid languages in the Kangwon region exhibit a variety of combinations among different language varieties externally. Although the dialectal hybrid words of the Kangwon region are the primary focus,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overall linguistic pattern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regional language research and research on coinage by examining how dialectal hybrid languages are combined internally and externally.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objectif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anguages, and provide a satisfactory result in regional language research.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regional language research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