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포대』(1926)가 신소설의 표제로 쓰인 것은 풍경의 발견, 명승, 유람, 시찰 등을 통해 조선의 풍경이 새롭게 발견되는 당대의 맥락과 밀접하다. 신소설에서 배경지인 공간은 삶이 일어나는 장소로 근대의 새로운 풍경을 발견하는명승지나 절경이 소설의 제목으로 실제 지명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역사적 가치와 의미가 있는 공간 ‘경포대’는 정지된 문화유산이 아니고 시・공간을 넘어 변화하였으며, 이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에게 자연 풍경이 아름다운 장소로 인식되었다. 『경포대』는 서사의 전개를 이끄는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물질과 인습에 저항하는 신분의 계급적 상승에 대한 욕망을드러내며, 처첩제도의 불합리한 사회 현실을 보여주는 가정 소설에 치우쳐 있기에, 당시 등장인물의 성격이 지역성을 갖는지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소설의 주인공은 강릉 경포대를 벗어나지 못한 여성으로 서울과 강릉의 경계인 대관령을 넘어 서울, 광릉, 서울로 재진입하는 이동 과정으로, 본처가 자기 권리를 찾아가는 여성 서사와 긴밀하다. 경포대에서 배경으로 한 강릉은일제 식민지 시기 해안을 따라서 대대적인 매립으로 새로운 주거지와 공간이형성되어 이주 일본인들이 정착함에 따라서 조선인들은 점차 주변으로 밀려나는 형세이다. 강릉 경포호 농지확장으로 대륙이 팽창된 것은 외형적으로 조선의 근대화를 표방하였으나, 일본의 수탈 정책을 위한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글은 신소설 『경포대』의 서사에 주목하여 작품의 서지사항과 서사 단락 및강릉과 서울에 나타난 인물들의 갈등을 살펴보고, 여성 인물의 신분 상승 욕망과 지명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작품을 근거로 분석한 것이다.


The fact that Gyeongpodae (1926) was used as the title of the new novel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time when Joseon’s landscape was newly discovered through discovery of landscapes, scenic spots, cruises, and inspections. In the new novel, the background space is the place where life takes place, and the cases of scenic spots or arract views that discover new landscapes in the modern era has increased as the adoption of novel’s title. Gyeongpodae, a space with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has changed beyond time and space,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beautiful place by people from before to the present. Gyeongpodae reveals the desire for class rise of the status that resists material and convention, centering on the female protagonist who leads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nd is biased toward a family novel that shows the unreasonable social reality of the wife-in-law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s at the time has regionality.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s a woman who has not escaped from Gyeongpodae in Gangneung and re-enters to Seoul, Gwangneung, and Seoul beyond Daegwallyeong, the border between Seoul and Gangneung, which is close to the female narrative where the mother-in-law finds her rights. Gangneung, set in Gyeongpodae, has a large-scale reclamation along the coast during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new residences and spaces formed, and Koreans are gradually being pushed to the surroundings as migrant Japanese settle down. The expansion of the continent due to the expansion of farmland in Gyeongpodae, Gangneung, outwardly advocated the modernization of Joseon, but appeared as a space for Japan’s exploitation polic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arrative of the new novel Gyeongpodae, examines the bibliography of the work, the narrative paragraph,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s in Gangneung and Seoul, and analyzes what the desire and nomination of female characters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