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반적으로 강원도 방언이라고 하면 대부분 매체 등에서 접한 영동 방언을떠올리곤 한다. 성조 방언인 영동 방언의 특징이 직관적으로 두드러져 인상이깊어 대중에게 각인이 되어 있다. 하지만 영서 방언 특히 영서 중・북부 지역(춘천, 화천, 양구, 인제, 철원)의 방언에 관해서는 대중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자들도 주목하지 않고 있다. 이는 관련 선행 연구의 성과 분량만 확인하더라도알 수 있다. 이에 방언 연구자는 물론, 대중이 쉽게 방언과 방언권, 방언구획을확인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방언 지도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였다. 두 가지의방언 지도를 검토하고 비교하여 강원도 영서 중・북부 지역의 방언을 조사할때 고려해야 할 방향에 대해 방언 조사 방법과 방언 조사 지점 설정에 대한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두 부분에서 지역이 주도하는 방언 조사를실시하여 중앙이 진행한 선행 방언 조사를 보완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이는 곧 방언, 지역어, 지역문화를 보존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In general, when it comes to Gangwon-do dialect, most people think of Yeongdong dialect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characteristics of Yeongdong dialect, a tonal dialect, are intuitively prominent and impressive, making it imprinted on the public. However, not only the public but also related researchers a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dialect of Yeongseo, especially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Yeongseo (Chuncheon, Hwacheon, Yanggu, Inje, and Cheorwon). This can be seen only by checking the amount of performance of related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two dialect maps were used as basic data, in which not only dialect researchers but also the public can easily identify dialect, dialect area, and dialect compartment. By reviewing and comparing the two dialect maps, the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investigating dialects i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Yeongseo, Gangwon-do, were divided into two parts: dialect survey method and dialect survey point setting.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preceding dialect survey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y conducting a regional-led dialect survey in both parts. This will soon be an important way to preserve dialects, local languages, and loc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