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척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항을 개선하여 국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한다. 둘째, 국내대학생 긍정심리자본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개발 계획 수립, 문항 개발, 예비조사(1, 2차) 및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자기효능감 16문항, 희망 20문항, 낙관성 16문항, 탄력성 19문항으로, 총 7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반응양식은 Likert 5점 척도로 하였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약 5~10분 정도이다. 문항 내적 합치도는 전체 .981, 자기효능감 .933, 희망 .961 낙관성 .894, 탄력성 .928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경우 .829~.937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척도는 한국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보다 타당하고, 신뢰롭게측정하여 국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연구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긍정심리자본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연구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reate a scale for assess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achieve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o develop items for measur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rising self-efficacy,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cale.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cale consisted of 16 items for self-efficacy (10 for competence and 6 for achievement), 20 for hope (10 each for pathway and way power), 16 for optimism (10 for optimistic expectation and 6 for optimistic recognition), and 19 for resilience (6 for positivity, 7 for controllability, and 6 for sociability), totaling 71 items across four constructs and nine sub-factors. Participants respond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taking between 5 and 10 minutes. The internal fit coefficients were .981 overall, .933 for self-efficacy, .961 for hope, .894 for optimism, .928 for resilience, and .829–.937 for the sub-factors. The scale we developed was design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cales and could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urther research into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