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소설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을 여성주의 비평의 개념을 통해 독해함으로써 이 소설에서 실현되는 여성주의적 담론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울리츠카야 스스로 확인했듯이 메데이아 신화를 전복함으로써 신화의 메데이아 형상에 은폐된 여성(/적인 것)에 대한 남근주의적이며 가부장제적인 왜곡을 밝혀내고 여성(/적인 것)의 의미와 위상을 회복시킨다. 여성(/적인 것)에 대한 남근주의와 가부장제의 왜곡을 뒤집는 울리츠카야의 메데야의 형상을 해석하기 위해 유용한 개념은 엘렌 식수의 ‘허여’의 실존과 캐롤 길리건의 ‘돌봄’의 윤리의 개념들이다. 메데야의 형상은 여성(/적인 것)의 본질이 배신당한 사랑에 복수하기 위해 아이들을 죽인 왜곡된 신화 속 메데이아의 무서운 얼굴이 아니라, 자신의 집에 모여든 수많은 아이들을 자신의 품에 안아 보살피고 살려내는 아름다운 얼굴임을 밝힌다. 허여와 돌봄의 실존을 사는 메데야 형상을 통해 복수하고 죽이는 메데이아의 신화는 용서하고 살리는 메데야, 생명을 주고 타자를 품어 돌보고 치유하고 살리는 메데야의 모성의 신화로 복원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은 길버트와 구바가 말한바 “여성 고유의 힘을 되찾아 주는 잃어버린 어머니를 기억하고 회복하는 험난한 도정”인 여성문학의 흐름 속으로 기입되며, 여성(/적인 것)의 현존을 재현하며 가부장제에 의해 폄하되어 온 여성(/적인 것)의 가치를 복권하는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로 자리매김된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feminist discourse realized in Lyudmila Ulitskaya's novel Medea and Her Children by reading it through the concepts of feminist criticism. As confirmed by Ulitskaya herself, this work subverts the myth of Medea, revealing the phallic and patriarchal distortion of ‘the feminine’ hidden in the mythical image of Medea, and restoring the meaning of ‘the feminine’. Useful concepts to interpret the image of Ulitskaya's Medea, which could overturn the distortion of the idea of phallicism and patriarchy toward ‘the feminine’, would be such concepts as Hélène Cixous’s concept of ‘gift’ and Carol Gilligan’s concept of the ethics of ‘care’. The image of Medea is not the scary face of the distorted mythical Medea, whose essence as ‘the feminine’ kills children to take revenge on her betrayed love, but rather, she embraces the countless children gathered in her house and takes care of them in her arms. It is revealed that it is a beautiful face that blooms and revives. Through the image of Medea, who lives an existence of generosity and care, the myth of Medea, who revenges and kills, is restored to the myth of Medea, who forgives and saves, and the maternal myth of Medea, who gives life and embraces, heals, and saves others. In this context, Medea and her Children joins with the flow of women's literature, which feminist critics Gilbert and Guba determine as “the difficult journey of remembering and recovering the lost mother that restores women's inherent power,” Moreover, this novel could be established as Cixous’s “women writing(écriture feminine)” that represents ‘the feminine’ and restores its value which have been denigrated by patriarchy.